지역별 - 영광
-
뉴스와인물] 차복영 목포경찰서장
◀ANC▶ 뉴스와 인물입니다. 자치경찰위원회가 올해부터 꾸려지면서 일선 경찰서마다 변화의 바람이 불고 있습니다. 차복영 신임 목포경찰서장과 함께 자세한 이야기 나눠보도록 하겠습니다. ◀END▶ 질문 1. 목포경찰서 근무는 처음이라고 들었습니다. 취임 소감과 함께 어떤 부분에 관심을 두고 계시는지요? 목포경찰서...
김양훈 2021년 08월 02일 -
폭염 속 식중독*농축산업*수산양식 위험지수 악화
폭염특보가 지속되는 가운데 날씨와 연관된 전남의 각종 지수들도 악화되고 있습니다. 기상청에 따르면 해남과 진도, 강진, 신안 등은 식중독 지수가 경고단계로 올라왔고, 영광과 곡성은 농업분야에서 위험단계, 나머지 지역은 경고나 주의단계를 보이고 있습니다. 함평과 무안, 순천, 광양지역은 수산 양식장이 폭염에 따...
양현승 2021년 07월 28일 -
폭염 속 식중독*농축산업*수산양식 위험지수 악화
폭염특보가 지속되는 가운데 날씨와 연관된 전남의 각종 지수들도 악화되고 있습니다. 기상청에 따르면 해남과 진도, 강진, 신안 등은 식중독 지수가 경고단계로 올라왔고, 영광과 곡성은 농업분야에서 위험단계, 나머지 지역은 경고나 주의단계를 보이고 있습니다. 함평과 무안, 순천, 광양지역은 수산 양식장이 폭염에 ...
양현승 2021년 07월 29일 -
영광 갯벌서 게 잡다 급류 휩쓸린 80대 숨진 채 발견
갯벌에서 게를 잡던 80대 남성이 급류에 휩쓸려 실종됐다가 18시간 만에 숨진 채 발견됐습니다. 목포해양경찰서에 따르면, 오늘(13) 오전 10시 50분쯤 영광군 백수읍의 한 바다에서 80살 남성 A씨가 숨진 채 발견됐습니다. 경찰은 어제 오후 갯벌에서 게를 잡다가 급류에 휩쓸렸다는 아내의 신고를 토대로 정확한 사고 경위...
2021년 07월 13일 -
레미콘협의회, "불법 장기파업 공권력 개입해야"
광주전남레미콘협의회가 영광지역 레미콘 운송사업자의 장기 파업에 대해 공권력 집행을 요구했습니다. 레미콘협의회는 레미콘운송사업자의 불법 파업으로 인한 피해가 더 이상 방관할수 없는 상황이라며, 레미콘 제조사의 생존권이 위협받고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특히 지난 5월 14일 이후 공장 진출입로를 막아서며 명백...
2021년 07월 13일 -
레미콘협의회, "불법 장기파업 공권력 개입해야"
광주전남레미콘협의회가 영광지역 레미콘 운송사업자의 장기 파업에 대해 공권력 집행을 요구했습니다. 레미콘협의회는 레미콘운송사업자의 불법 파업으로 인한 피해가 더 이상 방관할수 없는 상황이라며, 레미콘 제조사의 생존권이 위협받고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특히 지난 5월 14일 이후 공장 진출입로를 막아서며 명백...
2021년 07월 12일 -
투데이]조리실무사 충원 예산 삭감 놓고 갈등(R)
◀ANC▶ 전남도의회가 학교 급식실 조리실무사의 충원 예산을 삭감한 것을 두고 갈등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쟁점이 무엇인지, 김진선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END▶ ◀VCR▶ 전남 학교 7백 70여개 급식실에서 근무하는 조리실무사는 2천 3백여 명. 조리실무사 한 명당 학생 150명의 식사를 담당해왔습니다. 공공기관에...
김진선 2021년 06월 10일 -
"조리실무사 충원해야" VS. "학력 향상이 먼저"(R)
◀ANC▶ 전남도의회가 학교 급식실 조리실무사의 충원 예산을 삭감한 것을 두고 노동계의 반발이 커지고 있습니다. 예산을 삭감한 도의원들은 학생수 감소와 코로나19 장기화로 학력 향상을 위한 예산이 먼저라는 이유를 들고 있습니다. 김진선 기자입니다. ◀END▶ ◀VCR▶ 전남 학교 7백 70여개 급식실에서 근무하는 ...
김진선 2021년 06월 09일 -
전남 드래곤즈, 그린스타디움상 수상
전남드래곤즈가 3연속 그린 스타디움상을 수상했습니다. 전남드래곤즈는 한국프로축구연맹이 잔디 전문 연구기관의 정량 평가와 경기 감독관의 정성 평가를 통해 최상의 조건을 갖춘 K리그 경기장에 부여하는 그린스타디움상에 광양축구전용구장이 선정됐다고 밝혔습니다. 전남드래곤즈는 지난 2020년 이후 3연속 수상의 ...
2021년 06월 08일 -
MBC영상]습지의 야생화 '괭이눈'
◀ANC▶ 괭이눈은 습지에서 자라는 야생화입니다. 일본 고유종 식물로 알려졌지만지난 1913년 한라산에 이어 100여년 만에영광에서 서식지가 발견돼 화제를 모은식물입니다. 야생화 괭이눈 함께 보시겠습니다. ◀END▶-괭이눈-산지의 물이 흐르는 습한 곳 주변에 주로 분포-꽃은 4~5월에 연한 황록색으로 핀다.-당초 일...
박영훈 2021년 05월 05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