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 신안
-
연말기획-26일] 중형조선의 메카로
◀ANC▶ 전남이 중형선박 건조의 메카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현대삼호중공업을 핵심 축으로 중형조선소 건립이 잇따르고있습니다. 문연철기자가 ........... ◀VCR▶ 명량대첩지인 울돌목이 지척인 진도군 군내면 녹진리 조선소 건설현장입니다. 고려조선은 길이 3백여미터의 도크 두개를 포함한 조선소와 관련 산업단지...
2005년 12월 26일 -
오늘의 주요 뉴스
해남과 진도,신안에 조선소가 잇따라 들어서는등 전남이 중형 조선의 메카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 목포지역 중학생들이 다른 지역으로 전학하거나 진학하는 사례가 꾸준히 늘고 있습니다. -------------------------------------
2005년 12월 26일 -
신안 '섬 민요' 부르기 대회
신안 섬 민요 부르기 대회가 신안문화원 주최로 오는 27일 신안비치호텔 연회장에서 열립니다. 신안 섬지역에서 구전돼온 민요를 발굴, 보존하기위해 마련된 이번 민요부르기 대회는 마을에서 대대로 내려온 타령조의 노래와 노젓는 소리등 노동요를 대상으로 하고 있습니다. 신안문화원은 이 자리에서 또 나승만 목포대 국...
2005년 12월 27일 -
섬지역 방파제와 선착장] 추가피해 우려
신안과 진도등 섬지역 방파제와 선착장의 풍랑 피해가 심각한 가운데 또다시 높은 파도가 덮칠 경우 붕괴등 추가피해가 우려되고 있습니다. 특히 신안 임자면 하우리와 흑산면 비리등지 방파제는 하단기초가 유실된 채 콘크리트 상판이 떠있는등 불안전한 상태로 방파제 유실 가능성이 높지만 피해조사 지연과 예산 확보 문...
2005년 12월 28일 -
목포소방서)신안지역에 화재진압용 물탱크 배치
목포소방서는 상대적으로 취약한 도서지역의 화재진압을 위해 올 연말까지 병풍도등 50가구 이상 거주하는 신안지역 32개 섬에 화재진압용 물탱크를 배치할 계획입니다. 이번에 제작된 이동식 물탱크는 2톤의 물을 저장할 수 있고 트럭이나 경운기에 적재해 화재등 각종 재난시 신속히 활용할수 있도록 제작됐습니다.
김양훈 2005년 12월 29일 -
신안 '각종 전시 기념관' 관리주체 불분명
자치단체에서 설립한 각종 전시 기념관이 관리주체가 불분명하다는 지적이 제기됐습니다. 신안군의회 행정사무감사 자료에 따르면 지난 6월 완공된 하의 소금 전시관의 경우 건물관리는 시설관리사업소로 이관될 예정이지만 이를 관리 전시할 소관부서나 예산은 책정되지 않았습니다. 또 하의 농민운동 기념관과 흑산도 자...
2005년 12월 29일 -
수정)지자체 재정운용실태분석 희비 엇갈려
행정자치부가 처음으로 시행한 전국 지방자치단체에대한 재정운용 실태 분석결과에 대해 자치단체들의 희비가 교차하고있습니다 광역자치단체의 경우 광주시가 중간등급인 B등급을,전남도는 가장 낮은 C등급을 받았습니다 기초자치단체 가운데서는 광주 북구와 강진.해남군이 A등급을 받아 각각 10억원에서 5억원의 인센티...
2005년 12월 29일 -
피해 김 양식장] 작황마저 회복 불능
피해 김양식장의 작황마저 회복이 불가능해 양식어가들이 시름에 젖였습니다. 강풍과 풍랑피해를 입은 신안과 진도지역 김양식장 대부분에서 시설피해도 크지만 다 자란 김엽체가 떨어져나간데다 앞으로도 김 포자가 붙지않게 돼 사실상 올 김 양식은 불가능할 것으로 보입니다. 김 양식어민들은 이번 피해로 빚만 남은 상...
2005년 12월 29일 -
여객선 운임지원 섬주민 인증시스템 구축
전남도는 연말까지 여객선 운임지원을 위해 전산매표시스템에 섬주민 인증작업을 시작해,내년 2월부터는 운임 지원에 들어갑니다. 우선 대상은 목포와 신안,완도,진도,여수, 고흥,영광 등 7개 시군 9만 8천여명으로 생년월일과 주소,이름 등이 시스템에 입력돼 앞으로 매표소에서 자동적으로 섬주민 확인이 가능해져 운임 ...
박영훈 2005년 12월 29일 -
피해 김 양식장] 작황마저 회복 불능
피해 김양식장의 작황마저 회복이 불가능해 양식어가들이 시름에 젖였습니다. 강풍과 풍랑피해를 입은 신안과 진도지역 김양식장 대부분에서 시설피해도 크지만 다 자란 김엽체가 떨어져나간데다 앞으로도 김 포자가 붙지않게 돼 사실상 올 김 양식은 불가능할 것으로 보입니다. 김 양식어민들은 이번 피해로 빚만 남은 상...
2005년 12월 30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