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 신안
-
도내 6개시군 친환경농산물 인증면적 초과
나주와 강진,여수,담양,보성,장성 등 전남도내 6개 시군에서 친환경농산물 인증면적을 초과달성 했습니다. 반면 목포,광양 등 도시지역과 완도,진도, 신안 등 섬 지역은 친환경농산물 인증이 아직 50%수준에 못 미쳐 다소 미진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전남도는 작목 다양화 등을 통한 친환경 농업단지를 확대하기 위해 흙...
2005년 11월 08일 -
전남도)소나무 재선충병 확산방지 총력
전남도는 소나무재선충병 확산 저지를 위해 소나무류 이동제한 특별지침과 산림청장 특별 지시 제1호를 일선 시군과 유관기관 등에 통보했습니다. 도는 피해 인접 시군과 경남북 진입로에 예찰조사원과 지도원 29명을 고정 배치하고 단속초소 9개소를 설치,운영합니다. 또 기존 숲가꾸기 사업비를 소나무 재선충병 피해 지...
2005년 11월 08일 -
신안 흑산 도서낙도 가뭄 해갈
지난 주말에 내린 비로 도서 낙도지역의 가뭄이 해갈됐습니다. 신안군은 지난 주말 흑산면 가거도에 128밀리미터의 많은 비가 내린 것을 비롯해 인근 태도와 대둔도등 도서 낙도에도 평균 30밀리미터이상의 비가 내려 당장 물걱정을 덜게 됐다고 밝혔습니다. 간이상수도에만 의존해오던 이들 도서낙도는 올해 비가 거의 내...
2005년 11월 08일 -
흑산하수처리장 '바닷물 유입차단'고심
백억원에 가까운 예산을 쏟아붓고도 정상가동을 못해온 신안 흑산 하수종말처리장이 바닷물 유입을 막기위한 근본적인 대책 마련에 고심하고 있습니다. 신안군은 하수처리장과 가정을 연결한 하수관로와 맨홀 여러 곳에서 바닷물이 흘러든 것을 확인해 하자 보수공사를 최근 시행했습니다. 그러나 바닷물 유입의 또다른 원...
2005년 11월 09일 -
목포경찰)면세유 불법 유통,사용 수사착수
목포경찰서는 행정처분으로 일정기간 면세유 공급이 제한된 목포와 신안지역 일부 어민들에 게 면세유가 불법으로 공급됐다는 의혹이 제기됨에따라 본격적인 수사에 착수했습니다. 목포경찰서는 이를 위해 최근 목포와 신안수협에 의혹이 제기된 해당 선주들의 면세유 구입 자료를 요청하는 한편 면세유 구입권을 발급받은 ...
김양훈 2005년 11월 09일 -
수산 특목고 아세요=교육기획
◀ANC▶ 섬으로 이뤄진 신안지역에 특수목적고등학교가 있는 지 아십니까? 다름아닌 목포인근 압해종합고등학교에 자영수산과가 특수목적고로 운영돼 전문수산인의 요람으로 기틀을 다져가고 있습니다 보도에 고익수 기잡니다 ◀END▶ 신안군 압해면에 있는 압해종고 활어양식 실습장 육상 수조에 담긴 수백마리의 광어를...
2005년 11월 09일 -
무안반도 통합 주민투표 행자부에 요청
무안 신안 목포 하나되기 추진위원 대표단 5명이 오늘 오영교 행정자치부 장관을 만나 무안반도 통합 주민투표를 요청했습니다. 오장관은 최근 실시된 청주시와 청원군의 통합 주민투표가 부결된데 따른 우려감을 표시하며 무안주민들의 변화움직임과 도지사등 지역 행정책임자를 만나 의견을 들은 뒤 최종 결정하겠다고 답...
2005년 11월 09일 -
신안 해삼 양식 첫 시도
신안군 섬 지역에서 대하양식 대체품종으로 해삼 양식이 첫 시도되고 있습니다. 신안군은 매년 반복되는 바이러스 발병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축제식 양식어민들의 활로 개척을 위해 해삼 양식을 시작했으며 성공할 경우 전 지역으로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신안군은 최근 자은면에 휴업중인 대하 양식장 6천평에...
2005년 11월 11일 -
섬 가교 '노둣길'
◀ANC▶ 갯벌위에 돌을 놓아 섬사이를 잇는 노둣길을 기억하십니까? 신안 섬지역엔 노둣길이 아직 상당수 남아있는데요, 이젠 이 노둣길을 차량도 달리고있습니다. 문연철기자입니다. ◀VCR▶ 1930년대 신안 증도의 바닷가 모습입니다. 바닷물이 빠진 갯벌위에 돌을 쌓아 만든 다리,이른바 노둣길을 따라 섬을 건너고 빨...
2005년 11월 11일 -
신안출신 권염택도의원] 열린우리당 탈당
신안출신 권염택 도의원이 열린 우리당을 탈당해 내년 동시지방선거를 앞두고 지역 정가에 적잖은 파장을 불러올 것으로 보입니다. 지난 2천3년 민주당에서 우리당으로 당적을 옮겼던 권염택의원은 최근 민주당에 다시 되돌아가고 싶다는 뜻을 나타내며 우리당을 2년여만에 탈당했습니다. 지역 정가에선 권의원의 돌연 탈당...
2005년 11월 1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