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 커 ▶
최근 교도소 등 공공기관을 사칭한 사기 피해가
전남 지역은 물론 전국에서 잇따르고 있습니다.
교도관 명함에 이어 공문까지 위조한 교묘한
수법에 소상공인들의 피해가 커지고 있습니다.
김규희 기자가 보도합니다.
◀ 리포트 ▶
목포의 한 천막 제조업체.
이곳을 운영하는 50대 대표는
지난주 목포교도소 모 교도관으로부터
천막을 구입하고 싶다는 연락을 받았습니다.
그런데 하루 뒤 갑자기
이 업체에서 팔지 않는 방탄복도 필요하다면서
방탄복 업체를 소개해 줄 테니
대신 물품을 구입해 줄 수 있냐고 물었습니다.
[ 통CG ]업체끼리 거래하면 소매가보다
저렴하게 구매할 수 있을 것이고
남은 마진도 챙길 수 있을 거라면서
방탄복 업체에 연락을 유도한 겁니다.
◀ SYNC ▶천막 업체 대표(음성변조)
"갭이 크고 이익금이 많으니까 저희들도 이제 뭐 혹할 수밖에 없고 요즘 경기도 안 좋고 이러니까.."
실제 방탄복 업체에 연락해 보니
저렴한 가격을 제시했고, 물품 발주를 위해선
선입금이 필요하다는 요구에
천막 업체 대표는 910만 원을 이체했습니다.
그런데 교도관이 또 물품 구입을 의뢰하면서
천막 업체 대표는 수상함을 느꼈고 뒤늦게
사기당한 사실을 알게 돼 경찰에 신고했습니다.
◀ SYNC ▶천막 업체 대표(음성변조)
"(교도소에서) '그 이름이 있는 사람이 있긴 한데 구매 요청한 적이 없다' 그래서 바로 112에 신고하고..교도관이라고 교도소 공문까지 있으니까 뭐 어떻게 의심을 하겠어요 그거를.."
이달 들어 목포경찰서에 접수된
교도소 사칭 사기 피해만 모두 세 건.
◀ st-up ▶김규희
"이들은 법무부 직원의 명함은 물론 공문까지 위조해 사기 행각을 벌인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교도소 측은 물품 구입 의뢰 전화를 받으면,
반드시 기관 대표 번호로 직접 전화해
사실 확인을 해야
피해를 예방할 수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 INT ▶김형기/목포교도소 구입팀장
"그 직원이 근무하는지 그리고 해당 물건을 주문한 사실이 있는지 확인하시고, 선입금을 넣는다든가 아니면 대납을 한다거나 이런 경우는 절대 있어서는 안 될 것 같습니다."
올해 법무부 교정본부에 접수된
사칭 사기 피해 신고는 전국에서
90건을 넘어섰습니다.
MBC 뉴스 김규희입니다.
Copyright © Mokpo Munhwa Broadcasting Corp. All rights reserved.

출입처 : 경찰, 소방, 해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