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별
-
전남도교육청 장애물 없는 학교 만들기 추진
전남도교육청이 학생들의 안전한 교육시설 이용을 위해 장애물 없는 학교 만들기 사업에 본격 착수했습니다. 도교육청은 이를 위해 지난 2천11년 부터 신축하는 학교와 교육건축물에 대해 94개 항목의 장애인 편의시설 전반을 적용했으며, 현재 13개 교육건축물이 관련 인증을 취득했습니다. '베리어스 프리(BF)'로 불리는 ...
신광하 2013년 03월 04일 -
전남 관상어 산업화 착수...제주와 경쟁 불가피
정부의 관상어 산업 육성책에 따라 전라남도가 관상어 단지 조성 등 산업화에 나서기로 했습니다. 전남도에 따르면 정부는 관상어 산업 육성 등에 관한 법률을 제정하고, 8억원을 투입해 담수와 해수 관상어 개발 사업을 추진할 예정입니다. 도는 이에따라 희귀 어종 연구개발 등의 사업을 통해 국내 3천억원, 세계 시장 23...
신광하 2013년 03월 04일 -
꽃샘추위 풀려...내일부터 평년기온 회복
삼일절 연휴 마지막 날인 오늘 목포 등 전남서남부 지방은 맑은 날씨를 보였습니다. 연휴 마지막 날을 맞아 목포 어린이 바다과학관 등에는 가족 나들이객들로 붐볐고, 영화관과 박물관, 전시관 등에도 휴일을 즐기려는 시민들의 발길이 이어졌습니다. 연 사흘째 영하권을 기록했던 꽃샘 추위는 내일 오전부터 한 풀꺽이겠...
신광하 2013년 03월 03일 -
전남 학교 무상급식 비율 95%..전국 최고 수준
전남의 학교 무상급식 비율이 95%로 전국 최고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교과부가 밝힌 시도별 초중고 무상급식현황 자료에 따르면 3월 기준 전국 만 천5백개 초중고교 가운데 무상급식을 하는 학교는 8천3백여개교로 72.6%에 달합니다. 또 지역별로는 전남이 95%로 가장 높았고, 전북, 강원, 제주 순이었으며, 대구의 ...
신광하 2013년 03월 03일 -
국내최대규모 영암풍력발전단지 건설
국내 최대규모의 육상풍력발전단지가 영암군 금정면에 조성됩니다. 올 11월 상업운전을 목표로 추진되는 이 사업에는 대명GEC사와 현대중공업 등이 참여할 예정이며, 2메가와트급 풍력터빈 20기가 시설될 예정입니다. 영암군 금정면 국사봉 일원에 건설되는 풍력발전시설은 총 40메가와트 규모의 국내 최대 규모로 3만 가구...
신광하 2013년 03월 03일 -
전남 나무심기 좋은 날 '한 달' 빨라져
국립산림과학원은 지난 1996년 이후 동식물의 개화 발생 등을 조사한 결과 지구 온난화에 따라 산림에 서식하는 생물들의 생체리듬이 빨라지면서 개화시기가 앞당겨지고 나무심는 시기 역시 전남의 경우 한 달 가량 앞당겨 졌다고 밝혔습니다. 산림과학원은 남해안 지역은 지난 달 하순부터 늦어도 이달 말에는 나무를 심어...
신광하 2013년 03월 03일 -
가거도 방파제 공사 오는 6일 시작
국토 최서남단인 신안군 가거도 '슈퍼 방파제' 건설 공사가 오는 6일부터 시작됩니다. 서해어업관리단에 따르면 가거도 슈퍼 방파제 공사에는 국비 2천5백억원이 투입돼 오는 2천18년까지 완공될 예정이며, 백년 주기의 태풍에도 견딜 수 있는 만 톤급 사각 콘크리트 형 케이슨으로 시공될 예정입니다. 어업관리단은 지난 8...
신광하 2013년 03월 03일 -
나로 과학위성 정상 작동 확인
우리나라 첫 우주발사체인 나로과학위성이 정상 작동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교과부와 한국과학기술원 인공위성 연구센터는 나로 과학위성이 한반도와 중국 상공의 열 영상을 처음으로 송신해 왔다며, 이달부터 과학위성의 정상 운용에 나설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지난 달 30일 오후 4시 고흥에서 쏘아올린 나로 ...
신광하 2013년 03월 03일 -
에너지농장 성공 하려면(R)
◀ANC▶ 태양광 발전을 통해 안정적인 농가 소득을 창출하기 위한 에너지 농장사업이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그러나 신청량에 비해 융자지원을 받을 수 있는 농축산 시설이 많지 않아 사업확대에 걸림돌이 되고 있습니다. 신광하 기자가 보도합니다. ◀VCR▶ 한우 50마리를 사육하는 무안군의 한 축사 지붕에 태양광 전지...
신광하 2013년 03월 02일 -
태양광 정책 전환돼야(R-르포예고)
◀ANC▶ 땅 값이 싸고, 햇볕이 좋은 전남에 태양광 발전소 설치가 급속히 늘고 있습니다. 그러나 지역경제는 화성화와 고용창출 효과도 적어 산업 유치 정책으로 전환돼야 한다는 지적이 높습니다. 신광하 기자가 보도합니다. ◀VCR▶ C/G 전남의 태양광 발전 용량은 23만2천 킬로와트,, 공사나 인가를 받은 곳을 감안하...
신광하 2013년 03월 02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