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 담양
-
새롭게 태어나는 농촌..유해시설을 주민 공간으로(R)
◀ANC▶ 축사나 빈집, 폐공장 등은 환경 피해는 물론 주변 경관을 훼손하는 대표적인 시설들입니다. 이들 시설들은 안 그래도 소멸 위기에 직면한 농촌의 정주 환경을 더 악화시키고 있는데요. 최근 유해시설을 개선해 농촌을 새롭게 재생하려는 사업이 곳곳에서 추진되고 있습니다. 김진선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END▶...
김진선 2023년 09월 15일 -
모종사업자 만난 농민들..잇따라 '풍비박산' (R)
◀ANC▶ 전라남도 농업 정책자금 대출을 받다 부정대출자 신세가 돼버린 억울한 농민들이 한두면이 아닌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이들은 모두 비슷한 대출 방법으로 피해를 겪었습니다. 강서영 기자입니다. ◀VCR▶ 전라남도청 앞, 폭염 속에서 십여 명의 농민들이 현수막을 들고 섰습니다. 모두 모종사업자 지 모 씨로부터...
강서영 2023년 08월 10일 -
LTE]광주전남 많은 비..낙석*토사 유실 잇따라(R)
◀ANC▶ 그동안 많은 비가 내렸던 광주전남에는 밤사이에도 폭우가 쏟아졌습니다. 낙석이나 토사 유실 위험 신고도 잇따랐는데요. 목포항에 취재기자 나가있습니다. 서일영 기자 지금 상황은 어떻습니까? ◀END▶ ◀VCR▶ 네 저는 지금 목포항에 나와있습니다. 밤사이 쉴새없이 쏟아지던 빗줄기가 지금은 잠시 소강상태...
서일영 2023년 07월 18일 -
밤사이 광주전남 많은 비.. 실종*침수 등 피해 속출
광주전남에 많은 비가 내리면서 실종과 침수 등 비 피해가 속출했습니다. 어젯 밤 10시 30분쯤 함평군 엄다면 하천 농로쪽에서 60대 여성이 물살에 휩쓸렸다는 신고가 접수돼 소방당국과 경찰이 수색작업을 벌이고 있습니다. 또 함평과 무안에서 주택이 침수되는 등 비 피해가 잇따랐습니다. 지금까지 내린 비는 담양에 214...
김양훈 2023년 06월 28일 -
전남도, 맞춤형 자전거길 5곳 정비
전남지역 맞춤형 자전거길 5곳에 대한 안전·편의 정비사업이 추진됩니다. 전라남도는 행정안전부가 주관한 '국토종주 자전거길 정비사업'과 '자전거도로 사고위험지역 안전개선 사업'에 도내 자전거길 5개소가 선정됨에 따라 노후화된 자전거길 정비 사업에 착수합니다. 이번에 선정된 지역은 영암과 나주, 담양 등으로 교...
최다훈 2023년 06월 20일 -
전남지역 올해 첫 폭염특보 발효
전남지역에 올해 들어 첫 폭염특보가 이틀째 이어지고 있습니다. 광주지방기상청에 따르면 어제 오전 11시를 기해 담양에 폭염주의보가 발령된데 이어 오늘(18)은 곡성과 구례로 확대 발효됐습니다. 폭염주의보는 최고 체감온도 33도 이상인 상태가 2일 이상 지속될 것으로 예상될 때 발효되며 35도가 넘으면 폭염경보로 ...
김윤 2023년 06월 18일 -
재첩잡이 손틀어업 '세계농업유산' 등재 기대(R)
◀ANC▶ 봄을 맞아 광양과 하동을 아우르는 섬진강 일대에서는 조만간 본격적인 재첩 채취가 시작되는데요. 전통적인 재첩 채취 방식인 '손틀어업'을 세계중요농업유산으로 등재하기 위한 작업도 속도를 낼 전망입니다. 문형철 기자입니다. ◀VCR▶ 강물과 바닷물이 만나는 섬진강 하류. 어민들이 강에 직접 들어가 '거랭...
문형철 2023년 04월 10일 -
전남 국가무형문화재 전승공동체 활성화 '전국 최다'
문화재청의 국가무형문화재 전승공동체 활성화 지원사업에 전남은 전국에서 가장 많은 6개 사업이 선정됐습니다. 이번에 선정된 사업은 진도의 '함께 불러요. 우리 아리랑'과 강진의 월출산 차문화 전승공동체 활성화, 담양의 전통 민간 장고 복원 타당성 사업 용역 등입니다.
김양훈 2023년 04월 10일 -
기온 뚝...오늘밤 기상특보 발효
천둥 번개를 동반한 비가 그친 가운데오늘밤부터 기온이 뚝 떨어지겠습니다. 광주기상청은 오늘 밤 9시를 기해 담양,곡성,구례,여수, 광양에 한파주의보가 발효되고 전남 서해앞바다 평수구역에 풍랑주의보가, 흑산,홍도에는 강풍주의보가 내려질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내일 아침기온이 1점7도까지 떨어지는 매우 춥겠습...
문연철 2023년 03월 12일 -
무등산 국립공원 승격 10년..생태 가치 커졌다(R)
(앵커) 내일(4일)이면 무등산이 국립공원으로 지정된 지 꼭 10년이 됩니다. 그동안 멸종위기 야생생물이 3배 이상 늘어나고 세계지질공원 재인증에 성공하는 등 긍정적인 결과도 있지만 훼손된 정상부 복원 등 해결해야 할 과제도 남아 있습니다. 송정근 기자입니다. (기자) 지난 2013년 3월 국내 21번째로 국립공원에 지정...
송정근 2023년 03월 03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