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 나주
-
영산강유역 고대문화권 개발 본격 추진
영산강유역 고대문화권 개발이 본격 추진됩니다. 전라남도는 나주에서 영암,해남,무안,함평 등 8개시군 809제곱킬로미터에 이르는 영산강 유역을 고대문화권 특정지역으로 지정하고 내년부터 오는 2015년까지 3단계로 나눠 1조 천 3백억원의 예산을 들여 문화재 정비와 관광 휴양시설 등 4개부문 42개 사업의 종합개발 계획...
박영훈 2005년 10월 30일 -
농업박람회 262억 해외수출 계약
나주에서 열린 전국 최대 규모의 '제4회 대한민국 농업박람회'가 262억원의 수출계약을 체결하고 어제 막을 내렸습니다. 전남도에 따르면 지난 26일부터 5일동안의 농업박람회에 당초 예상보다 10만명이 많은 75만명이 행사장을 찾고 12개 친환경농업단체가 미국,일본 등 8개국과 262억원의 수출계약을 체결하는 성과를 올...
2005년 10월 31일 -
최종)경찰은 뭐했나(R)-1
◀ANC▶ 최근 40여곳의 어린이집을 털어온 30대 남자가 경찰에 붙잡혔습니다. 그러나 경찰은 이 남자가 무려 5개월동안이나 광주,전남지역을 조횡무진 누비고 다녔지만 범인 윤곽도 파악하지못했습니다 김양훈 기자가 보도합니다. ◀END▶ 어린이집만을 전문적으로 털어온 35살 김 모씨 김 씨는 지난 5월부터 무려 43곳의...
김양훈 2005년 10월 31일 -
혁신도시 예비후보지 부동산투기단속 강화
광주.전남 공동혁신도시 예비후보지 3곳에 대한 부동산투기 단속이 강화됩니다. 전남도는 나주와 담양,장성 등 혁신도시 예비후보지 3곳의 부동산투기를 막기 위해 국세청과 경찰 합동으로 16명의 투기단속반을 구성해 시세차익을 노린 미등기 전매행위나 외지인 투기조장 행위,소위 '떴다 방' 중개업소 운영행위 등을 집중...
2005년 11월 02일 -
투기를 막아라R
◀ANC▶ 광주전남 공동 혁신 도시 후보지가 3곳으로 압축되면서 해당 지역의 부동산 투기가 우려되고 있습니다. 이를 막기 위해 이들 지역이 곧 토지 거래 허가 구역으로 지정됩니다 정영팔 기자 ◀END▶ 혁신도시 후보지 공개로 가장 우려되는 것은 부동산 투기 열풍입니다. 장성과 담양 나주 등 혁신도시 후보지 3곳이 ...
2005년 11월 02일 -
해남*나주 토지가격 상승세
부동산 거래가 전반적인 감소세를 보이고 있는 가운데, 해남과 나주지역의 지가 상승율이 두드러진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한국토지공사가 최근 발표한 9월중 지가동향을 보면 광주전남지역에서 이 기간동안 땅값이 가장 많이 오른곳은 혁신도시 후보지로 거론되고 있는 나주시로, 한달새 0.65%의 상승율을 기록했습니다. 또...
신광하 2005년 11월 03일 -
광주3원)시도상생이기준R수
◀ANC▶ 광주전남 공동 혁신 도시 후보지가 3곳으로 압축되면서 과열 경쟁과 함께 최종 확정 이후 갈등과 후유증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지역민들은 이제 상생의 지역 발전 차원에서 결과에 깨끗이 승복해야 한다고 입을 모으고 있습니다. 정영팔 기자 ◀END▶ 혁신도시 본선에 오른 장성과 담양 나주 등 3개 시...
2005년 11월 03일 -
삼원-수퍼)후보지 땅값상승 주춤(R)
◀ANC▶ 혁신도시 후보지 3곳이 공개된 이후에도 땅값은 크게 오르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땅값이 이미 올라버린데다 토지거래 허가구역으로 지정된다는 소식에 매매가 오히려 줄어들고 있습니다. 이계상 기자가 후보지 3곳을 다녀왓습니다 . ◀END▶ ◀VCR▶ 광주*전남 공동 혁신도시 후보지 가운데 한 곳인 나주...
2005년 11월 05일 -
광주3원) 합의VS표결
◀ANC▶ 광주전남 공동 혁신 도시의 최종 입지 선정이 임박하면서 선정 방법에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입지 선정 위원들은 마지막 날 선정 방법을 결정 할 예정인데, 역시 진통이 예상됩니다. 정영팔 기자 ◀END▶ 장성 담양 나주 등 혁신도시 후보지 3곳은 순위가 없이 동등하게 본선에 올랐습니다. 하지만 최종 선정 ...
2005년 11월 07일 -
도내 6개시군 친환경농산물 인증면적 초과
나주와 강진,여수,담양,보성,장성 등 전남도내 6개 시군에서 친환경농산물 인증면적을 초과달성 했습니다. 반면 목포,광양 등 도시지역과 완도,진도, 신안 등 섬 지역은 친환경농산물 인증이 아직 50%수준에 못 미쳐 다소 미진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전남도는 작목 다양화 등을 통한 친환경 농업단지를 확대하기 위해 흙...
2005년 11월 08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