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 여수
-
여수 돌산읍 갯바위서 60대 여성 추락
어제(19) 오후 8시 반쯤 여수 돌산읍 방죽포의 한 갯바위에서낚시를 하던 60대 여성이 바다에 빠졌습니다.사고를 당한 여성은 출동한 해경에 의해 병원으로 이송됐지만, 결국 숨진 것으로 나타났습니다.여수해양경찰서는갯바위들 덮친 파도에 휩쓸려 추락했다는 일행들의 진술을 토대로정확한 사고 경위를 조사 중입니다.
최황지 2024년 10월 20일 -
여수 야산서 현직 경찰관 숨진 채 발견
최근 여수 야산에서 현직 경찰관이 숨진 채 발견됐습니다.여수경찰서에 따르면 지난 10일,장흥경찰서 소속 50대 경위가 여수 자택 인근 야산에서 숨진 채 발견됐습니다.발견 당시 범죄 혐의점은 없던 것으로 파악됐으며숨진 경찰은 최근 수사 정보를 유출했다는 민원을 받고,스트레스를 호소했던 것으로 알려졌습니다.경찰...
김단비 2024년 10월 18일 -
'여수의 사랑' 인연‥한강 노벨상에 지역 들썩
◀ 앵 커 ▶한국인 최초로 노벨문학상을 수상한 한강 작가의 소설 데뷔작은 여수를 배경으로 써 내려간 여수의 사랑입니다.실제 한 작가는 여수에 머물며 집필 활동을한 것으로도 알려졌는데요.이 같은 인연에 지역도 들썩이고 있습니다.유민호 기자입니다.◀ 리포트 ▶'여수, 그 앞바다의 녹슨 철선들'.지난 1995년 출판된 한...
유민호 2024년 10월 16일 -
온누리상품권 취급 대형마트...상인 반발
◀ 앵 커 ▶지난 8월, 여수의 한 농수산물직판장이 공산품까지 취급해 논란이 일고 있다는 소식전해 드렸는데요그런데 해당 업소가 골목상권에서만 사용할 수 있는온누리상품권도 취급하고 있어주변 상인들의 반발이 커지고 있습니다.최황지 기자가 현장에 다시 다녀왔습니다.◀ 리포트 ▶여수 돌산 길목에 위치한 교동시장입니...
최황지 2024년 10월 15일 -
가을인데 고수온 피해..사체 처리도 '골치'
◀ 앵 커 ▶지난 여름 고수온으로큰 피해를 입혔던 어류 폐사가가을까지 이어지고 있습니다.올해 유난히 높았던 수온에 물고기들이 치명상을 입고 서서히 죽는 건데요.죽은 물고기는 지자체가 수거하는데,섬 지역은 이마저도 어려워양식장이 거대한 쓰레기통이 됐습니다.최황지 기자입니다.◀ 리포트 ▶거문도의 한 능성어 양식...
최황지 2024년 10월 14일 -
여수만 르네상스 구상..시민참여 적극 유도
◀ 앵 커 ▶여수시가 여수만 르네상스 구상을 하고 있습니다.여수반도를 둘러싼 5개의 만을 대상으로새로운 도시성장의 축을 만든다는 계획입니다.최우식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민선 8기 여수시 5대 핵심공약의 하나인여수만 르네상스 중장기 종합발전계획은여수반도 주변 5개의 만,여자만과 장수만, 가막만, 여수해만...
최우식 2024년 10월 09일 -
낭만항구 목포..전남의 새로운 핫플 되나
◀ 앵 커▶낭만항구를 기치로 문화예술의 도시를 표방하는목포시가 전남의 새로운 '핫플'로 떠오르고 있습니다.지난해는 관광객 8백만명에 근접한데 이어 올해는 천만명을 넘어설 것으로 전망됩니다.신광하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지붕없는 박물관으로 불리는 근대역사거리의 시작점인 '목포근대역사 1관'입니다.[ 반투...
신광하 2024년 10월 09일 -
이사철 전세‥순천 '활발'·여수 '품귀'
◀ 앵 커 ▶이사철을 맞아아파트 전세 수요가 늘고 있는데요.순천은 거래가 활발한 반면, 여수에서는 전세 품귀 현상이벌어지고 있습니다.유민호 기자입니다.◀ 리포트 ▶여수시 웅천지구의 대단지 아파트입니다.모두 2천300여 세대지만,일부 단지는 전세 매물이 1개도 남아 있지 않습니다.새 아파트나, 지어진 지 10년 안팎의 ...
유민호 2024년 10월 08일 -
여순사건 76주년 앞두고 기념관 '북적'
◀ 앵 커 ▶여순사건 76주년이 약 2주 앞으로 다가왔습니다.징검다리 연휴를 맞아여순사건을 기억하기 위한 시민들의 발길도 이어지고 있습니다.최황지 기자입니다.◀ 리포트 ▶여수 오동도에 위치한 여순사건 기념관.진압군에 의해 희생된 민간인의 얼굴을 본 뜬 조형물,그리고 여순사건을 다룬 최초의 영화 '동백'도 상영됩니...
최황지 2024년 10월 03일 -
1백원 택시에 이어 1백원 버스 등장
◀ 앵 커 ▶고령 인구가 많은 농어촌 지역을 누비는 '100원택시', 한 번쯤 들어보셨을 겁니다.대표적인 노인 교통복지 서비스인데,요즘엔 오지, 도심 할 것 없이'청소년 100원 버스' 정책도 확산되고 있습니다.주현정기자입니다.◀ 리포트 ▶교복차림의 학생이 버스에 올라 버스요금을 치릅니다.교통카드 결제 요금은 단돈 100...
주현정 2024년 10월 02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