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 보성
-
광주 3원] 전남 쌀 마케팅 절실(R)
< 앵커 > 전남 쌀의 우수성이 올해도 확인됐습니다. 정부와 소비자 평가에서 전국우수브랜드 12개가운데 4개를 차지했습니다 그렇지만 높아진 품질에도 지역 쌀은 아직도 제 평가를 받지 못하고 있어, 적극적인 마케팅 전략이 필요하다는 지적입니다 한신구 기자의 보도 < 기자 > 전국적으로 천 7백 개가 넘는 브랜드 쌀.. ...
2008년 12월 18일 -
전남도내 관리지역 세분화 연내 완료
전라남도는 국토계획과 이용에 관한 법률에 따라 관리지역 세분화 작업을 연말까지 마칠 계획입니다. 전라남도 도시계획위원회는 오늘 영암 무안 함평 등 6개 군의 관리지역 가운데 일부 계획관리지역을 보전이나 생산관리 지역으로 보존하는 조건으로 세분화하는 안을 가결했습니다. 전라남도는 협의중인 신안 나주 구례 ...
2008년 12월 12일 -
지구온난화 신 소득작목 개발추진
전라남도 농업기술원은 지구온난화가 농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 새로운 소득작목 개발을 추진합니다. 농업기술원은 지구온난화 영향으로 온실난방비는 줄지만 쌀 수량은 2도가 오르면 4 퍼센트, 3도가 오르면 8 퍼센트가 감소하고 작물 재배적지는 한라봉의 경우 제주도에서 고흥 등으로, 녹차는 보성에서 강원도 고성까...
2008년 12월 10일 -
지구온난화 신 소득작목 개발추진
전라남도 농업기술원은 지구온난화가 농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 새로운 소득작목 개발을 추진합니다. 농업기술원은 지구온난화 영향으로 온실난방비는 줄지만 쌀 수량은 2도가 오르면 4 퍼센트, 3도가 오르면 8 퍼센트가 감소하고 작물 재배적지는 한라봉의 경우 제주도에서 고흥 등으로, 녹차는 보성에서 강원도 고성까...
2008년 12월 09일 -
솔껍질깍지벌레 창궐(R)
◀ANC▶ 전남지역의 소나무 숲이 말라 죽어가고 있습니다. 솔껍질깍지벌레 피해가 확산되고 있기 때문인데, 특히 섬지역 소나무 숲의 피해가 심각합니다. 신광하 기자가 보도합니다. ◀END▶ 다도해 국립공원지역인 진도군 조도면의 소나무 숲입니다. 잎이 누렇게 마르고, 통째로 말라가는 소나무가 방치돼 있습니다. 지...
신광하 2008년 12월 05일 -
전남개발공사 '난타'(r)
◀ANC▶ 남악신도시와 오룡지구를 연결하는 다리가 벌써 완공됐습니다. 하지만, 다리를 연결하는 접속도로도 없고 오룡지구는 언제 개발될 지 불투명해 사업 우선 순위 설정이 잘못 됐다는 질타가 이어졌습니다. 김 윤 기자가 보도합니다. ◀END▶ 지난 14일 준공검사가 완료된 남창 3교 입니다. 남악지구와 오룡지구를 ...
김윤 2008년 11월 24일 -
수정]도의회/전남 개발공사 방만경영 질타
전남 개발공사가 남악지구와 오룡지구를 연결하는 남창 3교 준공을 하루 앞두고 4억7천만원의 예산을 증액해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전라남도의회 전남개발공사 행정사무감사에서 완도출신 이부남 의원은 모두 4백억여 원이 투입된 남창 3교가 준공을 하루 앞둔 지난 6일 설계변경을 통해 4억7천여만 원이 증액됐다며 증액...
김윤 2008년 11월 24일 -
잠재투자가 초청 팸 투어 실시
전라남도는 잠재적인 투자가들을 초청해 팸 투어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전라남도는 오늘 저녁 목포 샹그리아 호텔에서 해동건설과 하이원그룹 등 투자 가능성이 있는 기업을 초청해 식사를 하면서 도내 관광개발 투자 여건을 설명했습니다. 참석자들은 오늘(12일) 여수 화양지구와 순천만 보성 녹차밭 등을 돌아봤고 내일(1...
2008년 11월 12일 -
전남도 도시계획위원회 7건 조건부 의결
전라남도 도시계획위원회는 오늘 7건의 안건을 심의하고 대부분 조건부 의결했습니다. 오늘 오후 전남도청 서재필실에서 열린 전남도 도시계획위원회는 2025년 해남군 기본계획안과 보성산단 토지거래 허가구역 지정안 장흥 해당산단 지구지정 계획안 등 7건을 심의했습니다. 전남도 도시계획위원회는 J프로젝트 개발계획을...
2008년 10월 31일 -
온난화 농업변화(R)
◀ANC▶ 지구 온난화가 가속화됨에 따라 농도인 전라남도에서도 작목전환을 준비하는 농가가 늘고 있습니다. 최진수 기자가 보도합니다. ◀END▶ ◀VCR▶ 부처님 손을 닮았다는 불수감 나무 앞에 관람객들의 발길이 멈춤니다. 인도가 원산지인 이 감귤은 기능성 작물로 해남과 고흥에서 재배되기 시작했습니다. ◀INT▶...
2008년 10월 3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