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 광주
-
미디어아트 창의도시 10년
◀ 앵 커 ▶ 광주시가 유네스코로부터 미디어아트 창의도시로 선정된지 올해로 10년을 맞았습니다.빛과 미디어 기술, 예술이 융합돼 펼쳐온 지난 10년의 발자취를 한자리에서 살펴 볼 수 있는 전시가 광주 미디어아트 플랫폼에서 열렸습니다.박수인 기자가 보도합니다.◀ INT ▶ 광주 미디어아트의 시작은 1995년 제1회 광주비...
박수인 2024년 07월 21일 -
한국전쟁기 군경에 희생된 민간인 유족 손배소 승소
광주지법 민사 12단독은 한국전쟁 당시 부역자 가족으로 몰려 태어난 지 얼마되지 않은 딸과 함께 군경에 의해 희생된 어머니의 유족 10명이 국가를 상대로 제기한 손해배상소송에 승소 판결했습니다.재판부는 판결문에서 희생자임이 확실하지만 사회분위기상 사망 신고를 실제 발생 당시와 달리 등재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신광하 2024년 07월 21일 -
"변하지 않으면 암울하다"..지역의 미래 희망은 어디에?
◀ 앵 커 ▶지역위기,인구 소멸의 시대 지역의 희망은어디에 있을까요?지역의 현안 해법 그리고 미래를 위해 무엇을 준비해야할지, 도시문헌학자의 눈을통해 들여다봤습니다.허연주 앵커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도시문헌학자인 김시덕 박사는 우리나라를 3대 메가시티로 구분했습니다.대서울권과 동남권, 중부권입니다.◀ INT...
허연주 2024년 07월 19일 -
주말에도 30-80mm 많은 비
◀ 앵 커 ▶이번 주말에도짧고 강하게 내리는 비가 계속될 것으로 예상됩니다.불과 몇 시간만에 만들어지는작은 규모의 저기압 때문인데요,현재 기술로는 예측하기가 매우 어렵다고 합니다.천홍희 기자가 보도합니다. ◀ 리포트 ▶지하차도 입구에 설치된 차단 시설입니다.진입금지라고 적힌 빨간 차단막이 내려와 입구를 막습...
천홍희 2024년 07월 19일 -
저출생으로 유소년 인구 반토막
◀ 앵 커 ▶정부는 저출생에 따른 인구 위기를국가비상사태로 규정했죠.우리 지역도 예외는 아닙니다.광주·전남의 유소년 인구가20여년 사이에반토막 수준으로 줄었습니다.윤근수 기자◀ 리포트 ▶수십 년간 한 자리를 지켜온초등학교 앞 문구점입니다.주인은 요즘 폐업을 심각하게 고민하고 있습니다.학교 준비물이 거의 사라...
윤근수 2024년 07월 18일 -
신재생에너지가 전남 먹여 살린다
◀ 앵 커 ▶전남의 신재생에너지 생산증가와 글로벌 RE100참여 확대, 분산에너지법 시행 등이 전남 지역경제에 대단히 밝은 미래를 가져다 줄 것으로 전망됐습니다.전력가격인하 효과가 최대 6만 명이 넘는 신규 고용인력을 창출할 것으로 추정됐습니다.김 윤 기자가 보도합니다.◀ END ▶◀ 리포트 ▶전남지역의 전력 자립률은 ...
김윤 2024년 07월 18일 -
올림픽 빛낼 광주*전남 별들..광주*전남 시민 응원
(앵커)코로나 여파로 3년만에 개최되는파리올림픽이 이번주 개막을 앞두고 있습니다.광주 전남 스포츠 스타들도효자 종목인 배드민턴과 양궁 등을비롯해 10여개 종목에 참여해활약을 예고하고 있습니다.송정근 기자입니다.(기자)가장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선수는 단연배드민턴 국가대표인 안세영 선수입니다.광주 풍암...
송정근 2024년 07월 18일 -
'남도한바퀴' 광주*전남 공동 여행상품 개발
전남도내 관광지 순환버스인 남도한바퀴가 광주관광공사와 손잡고 전남*광주 공동 상품을 운영합니다.매주 화요일과 금요일 운영되는 이번 상품은광주시 제7호 기념물인 포충사를경유해 함평과 무안으로 오는 낭만 데이트 코스 등으로 구성됐습니다.지난 6월까지 남도한바퀴 상품을 통해 전남을 찾은 관광객은 1만 3천여 명...
서일영 2024년 07월 17일 -
"반도체·AI·데이터센터" 유치에 전남 가장 유리
반도체와 AI, 데이터 센터 등 전력 다소비 첨단산업에 유치에 전남이 가장 유리하다는 전망보고서가 나왔습니다.한국은행 광주전남본부의 ‘RE100 활성화가 전라남도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분석’ 연구 결과에 따르면'글로벌 RE100'으로 재생에너지에 대한 국내 수요가 높아지고 지난 6월 '분산에너지 활성화 특별법' 시행으...
김윤 2024년 07월 15일 -
광주 광산구 학교배정 문제 해소되나?
◀ 앵 커 ▶살고 있는 지역의 고등학교를 배정받지 못해 먼 거리를 통학해야 하는 이른바 타 자치구 배정이 해마다 광주에서 반복되고 있습니다.도시가 외곽으로 확장하는 반면 대부분의 학교가 구도심에 위치해 있어 발생하는 현상인데요.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교육당국이고등학교 신설과명진고 정상화 카드를 꺼내들었습...
이재원 2024년 07월 14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