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 화순
-
우항리 공룡화석지 외국전문가 답사
남해안 일대 공룡화석지에 대한 유네스코 세계유산등재작업이 추진되고 있는 가운데 외국 전문가들이 해남우항리 공룡화석지를 현장방문했습니다. 최근 이뤄진 현지답사에는 유네스코 세계유산 과학자문위원인 호주 폴딩월 교수등 외국인 학자 4명과 강원대 우경식교수등 국내학자 5명이 참여했습니다. 남해안일대 공룡화석...
신광하 2007년 07월 20일 -
수정)경찰 수난시대(R)
◀ANC▶ 오늘 새벽 목포에서 공무집행방해 사건이 잇따라 발생했습니다. 경찰의 공권력을 무시하는 풍조가 심각한 수준에 이르고 있습니다. 김양훈 기자가 보도합니다. ◀END▶ 지구대 순찰차 뒷 유리창이 산산조각 났습니다. 순찰차 곳곳이 부서지고 찌그러졌습니다. 오늘 새벽 2시 30분쯤 목포시 산정동 모 호프집 앞에...
김양훈 2007년 07월 22일 -
한국 대표작가 '전남 문학기행' 추진
전라남도가 한국의 대표작가와 함께 하는 '전라남도 문학기행'을 추진합니다. 전라남도는 한국관광공사와 인터넷서점등 공동으로 노벨문학상 후보로 추천하고 싶은 '한국의 대표작가'와 3백여명의 독자들이 함께 전남지역 관광지를 답사하는 문학여행 프로그램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이번 행사는 다음달 12일부터 14일까지 ...
박영훈 2007년 07월 23일 -
데스크 단신(r)
◀ANC▶ 의료여건이 열악한 신안 섬주민을 대상으로 한 영상진료 서비스,이른바 원격 헬스케어 시스템이 오늘 개통됐습니다. 간추린 소식 김서련 아나운서 ◀END▶ 신안군은 보건소와 19개 섬지역 보건지소, 진료소,화순 전남대병원,목포 중앙병원에 이 시스템을 설치해 현지 주민들이 섬 현지에서 화상을 통해 육지 의사...
2007년 07월 26일 -
신안군 원격헬스케어 서비스 개통
무의도서지역 주민들에게 원격진료와 원격 건강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원격헬스케어 서비스 개통식이 신안군보건소에서 열렸습니다 행정자치부의 자치단체 정보화지원 사업으로 구축된 신안군의 원격 헬스케어 시스템은 화순 전남대병원과 목포 중앙병원이 참여해 신안군보건소를 비롯해 홍도와 가거도등 신안지역 19개 무...
2007년 07월 27일 -
목포3원]세계문화유산지정] 시간이 없다(R)
◀ANC▶ 전남 해남에서 경남 고성에 이르는 남해안 일대 공룡화석지의 세계문화유산 등재가 추진되고 있습니다. 내년 2월 신청을 목표로 자료조사가 진행되고 있는데, 전남과 경남에 걸쳐 5개 지역이 신청대상이어서 기간이 촉박한 상태입니다. 신광하 기자가 보도합니다. ◀END▶ 익룡등 각종 공룡의 발자국 화석을 간직...
신광하 2007년 07월 27일 -
한국 대표작가 '전남 문학기행' 추진
전라남도가 한국의 대표작가와 함께 하는 '전라남도 문학기행'을 추진합니다. 전라남도는 한국관광공사와 인터넷서점등 공동으로 노벨문학상 후보로 추천하고 싶은 '한국의 대표작가'와 3백여명의 독자들이 함께 전남지역 관광지를 답사하는 문학여행 프로그램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이번 행사는 다음달 12일부터 14일까지 ...
박영훈 2007년 07월 28일 -
광주 2원] 제3순환도로 사업 추진 '청신호
광주와 인근 4개 시군을 하나로 묶는 광주 제3순환도로 건설 사업 추진에 파란불이 켜졌습니다. 정부는 그동안 사업성이 낮다는 이유로 사업 추진에 난색을 표시해왔는데 이번에 일부 구간이 기획예산처의 예비타당성 조사를 통과했습니다. 조현성 기자 광주 제2순환도로가 최근 완전 개통된데 이어 광주와 나주,화순과 장...
2007년 08월 02일 -
신안 섬드리쌀 전남 최초로 美수출
전남쌀의 해외 수출이 시작됐습니다 신안군 안좌농협은 오늘 신안 섬드리쌀 미국 수출기념 행사를 갖고 미국과 계약한 120톤 가운데 1차분인 15톤을 선적했으며 이 쌀은 20킬로그램에 48,000원에 수출됩니다 한편 신안 섬드리쌀 외에도 화순 동복의 소문난 오리쌀을 비롯해 목포 바이오테크의 고혈압,비만치료 기능성 쌀, ...
2007년 08월 02일 -
화순 쌍산의소 국가지정문화재 지정
구한말 의병들이 왜경에 대항해 전투를 준비하던 터로 한말 의병사에 빛나는 화순군 쌍산의소가 국가지정문화재인 사적 제 485호로 승격됐습니다. 쌍산의소는 무기를 제작하였던 대장간터와 화약을 채취하였던 유황굴, 막사터, 훈련장, 호남창의소 본부 가옥 등이 남아 있으며 지난 94년 지방기념물로 지정돼 관리되고 있습...
2007년 08월 03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