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 목포
-
전남 대설특보 해제..밤부터 다시 눈
전남 곳곳에 나흘째 이어졌던 대설특보는모두 해제된 가운데 오늘(6) 밤부터 다시 눈이 내리겠습니다.전남에 지금까지 내린 눈은장성 상무대가 20.9cm로 가장 많았고, 영암 시종 16.1, 진도 15.1, 목포 11cm 등입니다.눈은 모레(8)까지 최대 20cm 더 내리겠고, 특히 오늘(6) 밤부터 내일(7) 오후 사이 시간당 최대 5cm 매우...
김규희 2025년 02월 06일 -
전남 나흘째 대설특보..모레까지 최대 10cm 눈
현재 전남 곳곳에 대설특보가 발효돼나흘째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눈은 모레(8)까지 계속 내릴 전망입니다.전남에 지금까지 내린 눈은장성 상무대가 20.9cm로 가장 많았고, 진도 15.1, 영암 시종 15, 목포 11cm 등입니다.눈은 모레(8)까지 최대 10cm 더 내리겠고, 특히 오늘(6) 밤부터 내일(7) 오후 사이 시간당 최대 5cm 매...
김규희 2025년 02월 06일 -
목포권 기독교 근대역사관 건립 본격화
개항기 호남권 기독교 선교의 중심지였던 목포시가 ‘목포권 기독교 근대역사관’ 건립을 본격 추진합니다.역사관은 북교동교회 주차장 부지에 지하 1층, 지상 4층 규모로 신축되며, 국비·지방비·민간 투자를 포함해 총사업비 84억 원이 투입됩니다.목포시는 이달부터 역사관 내 전시물 설계·제작과 설치를 위한 용역사를 선...
문연철 2025년 02월 05일 -
보행 위협 변압기 수두룩..목포시 "전수조사 시행"
◀ 앵 커 ▶시각장애인이 인도를 차지하고 있는 변압기 시설물에 부딪혀 다친 데 대해 법원이 지자체와 한전이 배상해야 한다고판결했습니다.목포시는 한전과 함께 보행자 안전을 위협하는변압기 현황에 대한 전수조사에나서기로 했습니다.김규희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목포의 한 보행로에 위치한 변압기.발전소에서 ...
김규희 2025년 02월 05일 -
'김 유통질서 현장점검단' 출범..목포에서 첫 점검
산지 물김값 폭락에도 시중 김 가격은 37년 만에 최대 상승폭을 기록하는 등 가격 안정이 시급해지면서 범부처 '김 유통 질서 현장점검단'이 출범했습니다.해양수산부 등 관계기관 6곳은 오늘(5) 첫 점검 대상으로 목포 대양산단 내 김 가공*유통업체 3곳을 찾아 제품의 평균 거래 가격과 판매 경로별 비중 등을 청취하고재...
서일영 2025년 02월 05일 -
전남 사흘째 15cm 안팎 눈..모레까지 이어져
전남에는 사흘째 15cm 안팎의 많은 눈이 내리고 있습니다.전남에 지금까지 내린 눈은장성 상무대가 20.5cm로 가장 많았고, 영암 시종 15, 함평 월야 13.7cm,목포 10.8cm 등입니다.눈은 내일(6) 오전까지 전남 서부를 중심으로 3에서 8cm 더 내리겠고, 이후 내일(6) 밤부터 모레(7)까지 전남 지역에최대 10cm 더 내리겠습니...
김규희 2025년 02월 05일 -
목포 북항에 공영버스 차고지 조성..7월 착공
전국 최초로 버스공영제를 도입한 목포시가 공영버스 차고지를 조성합니다.목포 북항 목포해양대학교 인근에 9천5백 제곱미터 규모로 들어서는 차고지는 70대의 버스를 수용할 수 있으며, 사무실과 식당, 휴게시설도 마련될 예정입니다.차고지 조성 사업은 관련 행정 절차를 마무리하고, 오는 7월 공사에 착수해 내년 말 완...
문연철 2025년 02월 04일 -
시각장애인 변전기 충돌..법원 "목포시·한전이 배상해야"
시각장애인이 도로에 설치된 변전기에 부딪혀부상을 입은 데 대해 법원이 목포시와 한국전력공사가 배상해야 한다고 판결했습니다.광주지방법원 목포지원 민사 제1합의부는오늘(4) 목포시와 한전이 공동으로 변전기에 부딪혀 다친 원고에게 위자료 백만 원을 배상하라고 판단했습니다.전남장애인권익옹호기관은 보행 안전을...
김규희 2025년 02월 04일 -
전남 15cm 안팎 많은 눈..내일까지 15cm 더 내려
현재 전남 시군 10여 곳에 대설특보가 내려진 가운데 밤사이 전남에는15cm 안팎의 많은 눈이 내렸습니다.그제(3)부터 현재까지 광주 전남 지역에 내린 눈의 양은 장성 상무대가 20.4cm로 가장 많았고, 함평 월야 13.7, 목포 10.8cm 등입니다.눈은 내일(6) 오전까지 전남 서부를 중심으로최대 15cm 이상 더 내리고 그쳤다가 ...
김규희 2025년 02월 05일 -
원재료 물김 폭락에도 '금값 김' 이유는?
◀ 앵 커 ▶김 최대 생산지 전남에서최근 김이 과잉 채취되면서 남아도는 물량을바다에 버리기까지 하고 있다는 소식 전해드렸는데요.이런 상황 때문에 물김 값은 10년 전으로 돌아갔지만 소비자들이 체감하는 시중 김값은 도무지 떨어지지 않고 있습니다.원인이 무엇인지 서일영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설 연휴 직후...
서일영 2025년 02월 04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