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뉴스
-
고 김인철교수 발굴 '김치유산균' 세계김치연구소에 기탁
목포대학교 고 김인철 교수가 평생 연구를 통해 발굴한 김치 유산균 379균주가 세계김치연구소 김치자원은행에 기탁됐습니다. 최근 별세한 김인철 교수는 목포대 천일염 사업단장을 역임하는 등 국내 최고의 '천일염과 발효 전문가'란 명성을 얻고 있습니다.
문연철 2022년 09월 14일 -
무안군, 발달장애인 실종예방 스마트기기 지원
무안군이 발달장애인의 실종 사고를 막기 위한 스마트 기기를 지원합니다. 올해 98명의 장애인에 지원되는 스마트 기기는 실시간 위치 알림과 안심존 이탈시 보호자 알림, 긴급 호출 등의 기능이 있으며 손목시계처럼 착용하거나 신발 깔창에 장착할 수 있습니다 . 무안군은 스마트 기기의 통신비도 2년 동안 지원한다고 ...
문연철 2022년 09월 14일 -
"의회에도 청원할 수 있습니다" 1호 청원 접수(R)
◀ANC▶ 지방자치법은 국민의 정치 참여를 높이기위한 '청원' 권한을 보장하고 있습니다. 지난 정부에서 활발했던 '국민청원'과 달리 지방의회에서는 참여율이 저조한데요. 12대 전남도의회에 1호 청원이 접수됐습니다. 김진선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END▶ ◀VCR▶ 급식실과 돌봄교실 등 도내 학교 비정규직 노동자는 ...
김진선 2022년 09월 13일 -
옛 목포유달경기장 신규 아파트 11월 착공 전망
옛 목포유달경기장 부지에 지어지는 아파트 신축 공사가 오는 11월쯤 시작될 전망입니다. 목포시에 따르면 옛 유달경기장 부지의 대규모 아파트 사업은 지난달 23일, 주택건설사업계획 승인이 이뤄진 상태이며 전남도 건축위원회 심의 등 일부 행정절차만 남아있습니다. 지하 2층, 지상 36층으로 지어지는 아파트 분양세대...
양현승 2022년 09월 13일 -
태풍 '힌남노' 전남 피해 124억 원 잠정 집계
태풍 힌남노로 인한 전남의 피해액이 124억 원으로 잠정 집계됐습니다. 전남에서는 벼 쓰러짐과 침수, 낙과 등 농작물 피해가 4천 8백헥타르로 가장 많았고 선박 침수와 전복 폐사 등 수산분야 피해액은 33억 6천만 원, 공공시설도 27곳이 파손돼 76억 원의 피해가 발생했습니다.
김진선 2022년 09월 13일 -
명절 끝나자 코로나 유행 '걱정'(R)
(앵커) 코로나19에 따른 사회적 거리두기가 3년만에 해제된 채 추석 명절을 보냈습니다. 이번 연휴에는 가족 만남이 늘고 이동량이 훨씬 많아졌는데요. 그만큼 코로나 확산에 대한 걱정이 커지게됐고, 코로나와 독감이 동시에 유행하는 이른바 '트윈데믹 현상' 가능성도 높아졌습니다. 김영창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수...
김영창 2022년 09월 13일 -
전남, 최근 10년간 특별교부세 전국 세번째로 많아
최근 10년동안 전남이 전국 광역자체단체 가운데 세번째로 많은 특별교부세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국민의힘 정우택 의원이 행정안전부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2년부터 지난해까지 전라남도가 받은 특별교부세는 1조 1995억 3500만원으로 전국 17개 시도 가운데 규모가 세번째로 컸습니다. 특별교부세는 지방교부...
김양훈 2022년 09월 13일 -
'산후조리 보따리 푼다' 전남 적극행정 최우수상
' 적극해석으로 산후조리 보따리 푼다'가 전라남도 적극행정 최우수상을 차지했습니다. 산후조리 보따리 사업은 '공공산후조리원을 이용한 산모는 퇴원 후에 추가로 산후조리 방문서비스를 받을 수 없다'는 현행법을 개정토록 함으로써 산모들의 환영을 받았습니다. 이밖에도 도민들의 생활 속 불편 해소를 위한 적극행정 ...
김진선 2022년 09월 13일 -
김영록 지사 "민주당, 국립의대 설립 전력투구해야"
김영록 전라남도지사는 전남 의과대 신설과 관련해 "더불어민주당에 광주*전남 현안에 대해 전력투구하는 모습을 보여달라고 요청했다"고 밝혔습니다. 김 지사는 "의과대 설립은 전남만의 문제가 아니라 공공의료확충이라는 국가적 차원의 문제"라며 "전남에 뿌리를 둔 민주당이 의과대 설립과 군공항 이전 문제 등 현안에...
김진선 2022년 09월 13일 -
내년 마늘 재배면적 증가, 양파 재배면적 감소 전망
내년에 마늘 재배면적은 증가하고 양파 재배면적은 감소할 전망입니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업관측센터가 실시한 2023년산 마을,양파 재배의향 조사 결과 마늘은 2만 4429ha로 전년대비 3.1% 증가한 반면 양파는 만 6671㏊로 전년대비 4.8% 감소했습니다. 특히 조생종 양파는 2022년산 수확기 가격 하락으로 중만생종 대...
김양훈 2022년 09월 13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