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 영광
-
군산 AI 의심농장 가축 전남 반입 없어
전북 군산의 AI의심가축이 전국적으로 확산된 가운데 전남으로는 반입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전라남도에 따르면 군산 AI의심가축 발생 농장에서 경기도 파주와 경남 양산, 제주 등 5개 도,7개 농장으로 판매됐지만 전남에는 해당농장의 가축이 공급되지 않았습니다. 전라남도는 군산의 해당농장을 방문한 차량이 ...
김윤 2017년 06월 06일 -
군산 AI 의심농장 가축 전남 반입 없어
전북 군산의 AI의심가축이 전국적으로 확산된 가운데 전남으로는 반입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전라남도에 따르면 군산 AI의심가축 발생 농장에서 경기도 파주와 경남 양산, 제주 등 5개 도,7개 농장으로 판매됐지만 전남에는 해당농장의 가축이 공급되지 않았습니다. 전라남도는 군산의 해당농장을 방문한 차량이 ...
김윤 2017년 06월 06일 -
군산 AI 의심농장 가축 전남 반입 없어
전북 군산의 AI의심가축이 전국적으로 확산된 가운데 전남으로는 반입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전라남도에 따르면 군산 AI의심가축 발생 농장에서 경기도 파주와 경남 양산, 제주 등 5개 도,7개 농장으로 판매됐지만 전남에는 해당농장의 가축이 공급되지 않았습니다. 전라남도는 군산의 해당농장을 방문한 차량이 ...
김윤 2017년 06월 05일 -
전남도 AI방역 또 다시 '비상'
제주와 전북 군산 등 전국에서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의심사례가 잇따라 발생하면서 전라남도도 방역에 비상이 걸렸습니다. 전라남도는 이에따라, 지난 1일부터 평시 방역체계로 전환된 지 사흘만에 AI위기단계를 '경계'로 환원하고 전북과 가까운 담양과 장성, 영광 등 5개 군에 통제*소독 장소를 설치하는 한편, 도내...
김윤 2017년 06월 05일 -
전남도 AI방역 또 다시 '비상'
제주와 전북 군산 등 전국에서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의심사례가 잇따라 발생하면서 전라남도도 방역에 비상이 걸렸습니다. 전라남도는 이에따라, 지난 1일부터 평시 방역체계로 전환된 지 사흘만에 AI위기단계를 '경계'로 환원하고 전북과 가까운 담양과 장성, 영광 등 5개 군에 통제*소독 장소를 설치하는 한편, 도내...
김윤 2017년 06월 04일 -
"지역차별 타파", 호남 총리 기대감 커(R)
◀ANC▶ 이낙연 전 전남지사가 새 정부 초대 총리로 취임하게 됐습니다. 대통령과 역할을 나눈 책임총리를 호남 출신이 맡게 되면서, 해묵은 지역차별 문제를 해소하는데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양현승 기자입니다. ◀END▶ ◀VCR▶ 이낙연 총리 후보자의 임명동의안이 국회에서 통과되자 광주시와 전라남도...
양현승 2017년 06월 01일 -
"지역차별 타파", 호남 총리 기대감 커(R)
◀ANC▶ 이낙연 전 전남지사가 새 정부 초대 총리로 취임하게 됐습니다. 대통령과 역할을 나눈 책임총리를 호남 출신이 맡게 되면서, 해묵은 지역차별 문제를 해소하는데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양현승 기자입니다. ◀END▶ ◀VCR▶ 이낙연 총리 후보자의 임명동의안이 국회에서 통과되자 광주시와 전라남도는...
양현승 2017년 05월 31일 -
유엔서 5.18행사 처음 열리다(R)
◀ANC▶ 세계정치와 국제외교의 중심인 유엔본부에서 5.18 행사가 사상 처음으로 열렸습니다.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에 이어 또 하나의 중요한 5.18 세계화 이정표가 세워졌습니다. 현지에서 김철원 기자입니다. ◀END▶ 국제정치 1번지 유엔에서 5.18 행사가 한국 시간으로 지난 27일 새벽 열렸습니다. 5.18 열흘...
2017년 05월 29일 -
유엔서 5.18행사 처음 열리다(R)
◀ANC▶ 세계정치와 국제외교의 중심인 유엔본부에서 5.18 행사가 사상 처음으로 열렸습니다.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에 이어 또 하나의 중요한 5.18 세계화 이정표가 세워졌습니다. 현지에서 김철원 기자입니다. ◀END▶ 국제정치 1번지 유엔에서 5.18 행사가 한국 시간으로 지난 27일 새벽 열렸습니다. 5.18 열흘의...
2017년 05월 28일 -
'먹튀 논란' 출산장려금, 정책 변화 시급(R)
◀ANC▶ 이른바 '먹튀 논란'을 일으키는 시*군의 출산장려금 지급 실태가 파악됐습니다. 지원금이 많은 곳에서 아이를 낳고, 몇달 뒤 거주지를 옮기는 건데, '출산'에 맞춰진 정책방향을 전환해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문연철 기자입니다. ◀END▶ ◀VCR▶ 적게는 둘째아이까지 20만원, 많게는 7번째 자녀에 2천2백만 ...
양현승 2017년 05월 24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