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뉴스
-
목포와 나주에서 주택화재 잇따라 3명 숨져(R)
◀ANC▶ 오늘 오후 목포의 한 연립주택에서 불이나 50대가 숨졌습니다. 나주에서도 주택화재로 2명이 목숨을 잃었습니다. 박종호 기자가 보도합니다. ◀END▶ ◀VCR▶ 새까만 연기가 쉴새없이 뿜어져 나옵니다. 건물 외벽은 까맣게 그을렸습니다. 목포의 한 5층 규모의 연립주택 4층에서 불이 난 것은 오늘 오후 3시 25...
양현승 2022년 09월 30일 -
광주전남 정전 발생 전국 최대, 서울시의 1.8배
최근 5년동안 광주*전남에서 발생한 정전 건수가 서울의 1.8배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민주당 정일영 의원실에 따르면 최근 5년간 광주전남에서 발생한 정전피해는 265건으로 전국에서 가장 많았고, 2017년 이후 정전피해 배상액도 10억여 원에 이릅니다. 같은 기간 서울시에서는148건의 정전 피해가 발생했습니다....
양현승 2022년 09월 30일 -
박우량 신안군수, 시장*군수*구청장협의회 부회장 선출
전국 226개 기초자치단체장을 회원으로 하는 민선8기 시장*군수*구청장 협의회의 부회장에 박우량 신안군수가 선출됐습니다. 앞서 박우량 신안군수는 지속가능발전지방정부 협의회장과 전남시장군수협의회장에도 선출됐으며, 중요 국가 정책과 법령에 대한 지방정부의 의견을 중앙정부에 전달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양현승 2022년 09월 30일 -
'끝났지만 끝나지 않은 공사', 후임 담당자만 곤혹(R)
◀ANC▶ 10억 넘는 공사가 5년 전에 끝났지만, 따지고 보면 아직 끝나지 않은 이상한 항만공사가 있습니다. 목포시가 항만관청 허락없이 계획을 바꿔 공사를 진행했기 때문인데, 후임 업무담당 공무원들만 애가 타고 있습니다. 양현승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END▶ ◀VCR▶ 목포시가 지난 2017년 하반기에 조성한 삼학...
양현승 2022년 09월 30일 -
서해해경, 하반기 마약류 범죄 집중 단속
서해지방해양경찰청은 해양 마약류 범죄를 근절하기 위해 11월 11일까지 특별단속을 실시합니다. 해경은 사람이나 차량 접근이 어려운 장소에 대해서는 드론을 활용한 단속을 전개하고 어촌 양식장과 조선소 등에서 불법으로 마약류를 투약,유통하는 행위에 대해서도 강력 단속할 계획입니다. 서해해경청은 최근 3년동안 마...
김양훈 2022년 09월 30일 -
장흥 빈집실태조사 완료 '귀농 희망자에 정보 제공'
장흥군이 지역내 빈집 실태에 대한 조사를 마치고, 귀농*귀촌 희망자에게 관련 정보를 제공하기로 했습니다. 장흥군은 빈집으로 추정되는 2천 호 가운데 725동이 실제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됐다며, 소유자의 매매 동의를 받은 뒤 귀농*귀촌 희망자가 이용할 수 있도록 관련 정보를 빈집정보시스템과 장흥군 누리집에 ...
김진선 2022년 09월 30일 -
전남소방본부 ,전국 소방기술 경연대회 화재진압 1위
전남소방본부가 제35회 전국 소방기술 경연대회에서 체력과 속도를 앞세운 화재진압 분야에서 전국 1위를 차지했습니다. 전남소방 대표로 참가한 목포소방서 대원 5명은 행정안전부 장관상과 함께 1계급 특진 혜택이 주어졌습니다
문연철 2022년 09월 30일 -
활용 안 되는 폐교 시설 전남에 집중
활용되지 못한 폐교가 전국에서 전남에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전국의 폐교 351곳 가운데 전남이 85곳으로 가장 많았고, 경남 74곳, 경북 57곳, 강원 45곳 등의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한편 광주시와 대구시 등은 폐교시설을 교육과 문화 시설 등으로 100%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양현승 2022년 09월 30일 -
전남 에너지바우처 미사용율 전국 최고
전남도가 에너지취약계층에 지원하는 에너지바우처 미사용 비율이 전국에서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국민의힘 정운천 의원실에 따르면 지난 2017년 이후 전남에서 지원된 에너지바우처는 230억여 원에 이르는데 21%가 사용되지 않아 전국 평균 15%를 크게 웃돌며 미사용률이 가장 높았습니다. 에너지바우처는 전기, ...
양현승 2022년 09월 30일 -
전남귀어학교, 어선어업.양식업 실습 확대
귀어를 희망하는 미래 어업인을 위한 전남 귀어학교가 현장 실습을 확대 운영합니다, 전남 귀어 학교는 성공적인 어촌 정착을 위한 교육을 5주간 진행하며 올해부터는 현장실습 시간을 1주에서 2주로 확대하고 수료생을 대상으로 어선어업.양식업 분야 현장 실습교육을 추가로 제공하기로 했습니다.
허연주 2022년 09월 30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