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뉴스
-
'국가 애도기간' 축제 취소*연기 이어져(R)
◀ANC▶ 이태원 참사 이후 광주전남에서도 축제 취소와 연기가 잇따르고 있습니다. 국가 애도기간 동안 추모 분위기에 동참하겠다는 것인데 각 지자체들은 안전점검도 강화하고 있습니다. 박종호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END▶ ◀VCR▶ 10월 21일 함평에서 개막한 대한민국 국향대전 11월 6일까지 계속될 예정인 가운데 ...
박종호 2022년 11월 01일 -
진도 씻김 굿으로 이태원 참사 희생자들 추모
진도군이 이태원 참사 희생자를 추모하기 위한 씻김굿을 어제(31) 저녁 진도향토문화회관 광장에서 열었습니다. 진도군은 이번 참사로 목숨을 잃은 사망자와 고통 겪고 계실 가족, 부상자분들께 깊은 애도를 전한다며 진도 씻김굿으로 희생자 추모와 부상자들의 빠른 회복을 바란다고 밝혔습니다. 진도군은 고 노무현 대통...
신광하 2022년 11월 01일 -
"아들, 딸 서울로 보냈는데"..광주, 전남 11명 사망(R)
◀ANC▶ 서울 이태원 참사로 광주전남지역 청년들이 안타깝게 목숨을 잃었습니다. 지역의 희생자는 지금까지 11명으로 잠정 집계되고 있습니다. 서울로 직장과 대학을 보냈던 부모는 자녀의 황망한 죽음에 하루 종일 눈시울을 붉혔습니다. 임지은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END▶ ◀VCR▶ 아버지가 사고 당일 딸이 남긴 마...
임지은 2022년 11월 01일 -
"못다 핀 꿈 하늘에선 이루길..."(R)
(앵커) 서울 이태원 참사 소식에 광주전남 지역에서도 희생자를 추모하는 시민들의 발길이 계속 되고 있습니다. 시민들은 하나같이 비통한 마음을 감추지 못했고, 거리 곳곳에는 희생자와 가족의 아픔을 함께 하려는 애도 물결이 이어졌습니다. 김영창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5.18민주광장 한켠에 마련된 이태원 참사 ...
김영창 2022년 11월 01일 -
세월호 잊지 않기 단체 "이태원 참사 희생자 명복 기원"
세월호 잊지않기 목포지역공동실천회의는 성명을 내고 이태원 참사 희생자의 명복과 부상자의 회복을 기원한다고 밝혔습니다. 실천회의는 참사 수습을 위한 정부와 자치단체의 성실한 노력과 피해자 지원활동이 필요하며, 원인 규명과 책임자 처벌이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양현승 2022년 11월 01일 -
광주*전남 상생과제 '화순 동복댐 현안' 해결
광주전남 상생발전과제로 꼽혀온 화순 동복댐 상수원 관리와 정비사업 현안이 해결됐습니다. 전라남도와 광주시, 화순군은 지금까지 15차례 협의를 거쳐 동복댐 상수원보호구역은 광주시에서 총괄 관리하고, 망향정으로 가는 적벽투어 구간 시설물은 화순군이 유지 관리하기로 했으며 댐 주변 정비 사업비의 90%를 광주시...
문연철 2022년 11월 01일 -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 지자체장, 검찰 송치 잇따라
6.1 지방선거와 관련해 자치단체장들의 선거법 위반 사건이 잇따라 검찰로 송치됐습니다. 목포경찰서는 선거방송토론회와 기자회견 등을 통해 경쟁후보와 관련한 4건의 허위사실을 발언한 혐의로 박홍률 목포시장을 송치했습니다. 장흥경찰서도 상대후보를 비방한 혐의로 입건된 김성 장흥군수와 선거캠프 관계자 등 8명을 ...
2022년 11월 01일 -
출근길은 전쟁터.. 경찰은 뭐하나?(R)
◀ANC▶ 목포 시내버스 파업으로 버스운행이 2주 넘게 멈추면서 출근길 교통정체가 심각합니다. 교차로에서 꼬리물기 등 법규 위반행위도 잇따르고 있지만 경찰은 사실상 손을 놓고 있습니다. 양정은기자가 취재했습니다. ◀END▶ 아침 7시, 목포 만남의 폭포 앞 교차로 목포에서 영암방향 직진 차로 500m 구간에 차량정...
2022년 11월 01일 -
전남*부산*경남, '탄성소재 재도약 사업' 예타 대상 선정
전라남도가 부산, 경남과 공동으로 건의한 2천 304억 원 규모의 '탄성소재 재도약 사업'이 예비타당성조사 대상사업으로 선정됐습니다. 탄성소재 재도약사업은 지속 가능한 탄성소재를 개발하고 전남,부산,경남 지역에 밸류체인 연계형 실증장비를 구축하는 사업으로 전라남도는 긴밀한 공조 체제를 마련해 예타 최종 통과...
김진선 2022년 11월 01일 -
전남 수출액 386억 달러..전년도 대비 25% 상승
석유제품과 농수산 식품의 수출이 늘면서 전남 수출액은 올 3분기까지 386억 2천 달러로 지난해보다 25.6% 상승했습니다. 경유, 휘발유 등 석유 제품 수출액이 144억 5천만 달러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고 석유화학제품이 126억 9천만 달러, 철강제품이 58억 4천만 달러를 기록하면서 수출 상승세를 이끌었습니다.
허연주 2022년 11월 0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