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 커 ▶
앞서 보신 것처럼 전남도민들의 정책체감도는
지역소멸위기대응이었습니다.
그렇다면 인구와 경제 위기에 대응할
미래성장전략으로 전남도민들은 어떤 정책을
원하고 있는지 김 윤 기자가 이어서
보도합니다.
◀ END ▶
◀ 리포트 ▶
(C/G) 전라남도의 미래성장전략 선호 정책을
물었습니다. 청년 일자리 창출이 61.2%로 단연 높았습니다.
문화관광이 49%, 신해양·문화관광·친환경 수도 건설이 46.8%순으로 문화관광 분야가 뒤를
이었습니다.
◀ INT ▶조은규/ 목포대학교 국어국문학과 4학년
전남에서 머물면서 일을 하는 경우는 공무원
시험을 보는 경우가 아니면 거의 못 본 것 같습니다. 저희가 관심을 가지는 분야나 전공 분야를 살릴 수 있는 그런 중소기업이 좀 있으면 좋겠다고 생각해서...
(C/G) 미래성장을 위한 예산 투입희망 분야의
우선 순위는 바이오 14.6%로 가장 높았고
조선산업 11.8%, 데이터센터 10.4%,
이차전지 9.8%, 해상풍력 9.6%순으로 조사됐습니다.
(C/G)우선순위를 정해 세 개까지 대답할 경우
바이오 36%로 가장 높았지만 태양광 34.6%,
해상풍력 34.4%, 조선산업 31.6%로
신재생에너지 산업이 부상했습니다.
(C/G) 투자유치를 위해 전남도가 고려해야할
사항으로는
청년 중심 일자리 창출이 18.8%로 가장 높았고
기업유치를 위한 정주여건 개선 14.4%,
지역특성에 맞는 신규사업 발굴 12%,
전남도와 시군의 협력을 고려해야 한다는
응답도 12%에 이르렀습니다.
(C/G) 기업들이 전남도를 선택할 때
입지의 장점이 뭐겠냐는 질문에 대해서는
저렴한 부지가 33.8%로 가장 높았으며
깨끗한 환경, 원료확보용이성, 인센티브지원
순으로 조사됐습니다.
우선순위 두고 2개를 꼽을 경우도
도민들은 저렴한 부지가 가장 장점이라고
생각하고 있었습니다.
◀ INT ▶ 장헌범 / 전라남도 기획조정실장
조사 결과를 참고해서 전남도의 미래 산업 전략을 더욱 구체화하고요. 그다음에 전략 산업의 육성과 청년 일자리 창출 등에 더욱 잘 활용하도록 하겠습니다.
(투명C/G)
이번 전남도 미래산업 인식조사는
지난 15일부터 20일까지 전남거주 만 18세 이상
온라인패널 데이터베이스에서 무작위로 추출한
남녀 5백 명을 대상으로 조사했습니다.
MBC NEWS 김윤입니다.
Copyright © Mokpo Munhwa Broadcasting Corp. All rights reserved.

출입처 : 목포시, 신안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