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 커 ▶
1940년대 일본 군수공장 미쓰비시에
강제동원돼 고초를 당했던 피해자들.
이제는 고령이 됐지만,
미쓰비시에 배상은커녕
사과 한마디조차 듣지 못했습니다.
일본인들이 이들이 싸워온 긴 시간을
연극으로 만들어 선보였는데,
해외 공연으로는 광주가 처음입니다.
임지은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 리포트 ▶
머리에 두건을 두르고
강제 노역을 하고 있는 13, 14살의 소녀들.
중학교에 가게해주겠다는 일본
교사의 말에 속아 미쓰비시에
동원된 양금덕 할머니와
동료들의 어린 시절 모습입니다.
◀ SYNC ▶
"야 어긋나 있다고! 그만 그만 (미안합니다)
사과한다 해도 늦었다니까!"
연극 <봉선화>는 강제동원의 아픔을 평생
가슴에 묻고 지냈던 피해자들이 주인공입니다.
도난카이 대지진으로
나주 선배인 최정례를 떠나보내야만 했고
◀ SYNC ▶
"최정례!"
수십 년이 지난 이후,
일본 변호인단의 도움을 받아
법정 싸움에 나서기까지.
◀ SYNC ▶
"재판장님, 끝까지 올바르게
판단을 내리길 부탁드립니다!
정말로 부탁드립니다!"
강제동원 피해자들이 일본 정부와 맞서온
긴 시간을 표현했습니다.
특히 이 연극은 중고등학생, 변호사, 교사 등
일반 나고야 시민들이 직접 만들고
출연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큽니다.
지난 2003년, 나고야에서 첫 선을 보인 뒤
해외 공연으로는 처음으로 광주를 찾았습니다.
◀ INT ▶ 나카 도시오 / 연극 <봉선화> 연출
"나고야와 광주에서 후원하는 시민들의
힘을 합쳐서, 광주에서 선보이는 공연으로
진실을 알리는 데 힘을 얻을 기회가 됩니다."
손해배상 소송에 나선 피해 당사자와
가족들도 공연을 관람했습니다.
고군분투해온 자신의 모습을
연극으로 되돌아본 정신영 할머니는
눈시울이 붉어집니다.
◀ INT ▶ 정신영 / 강제동원 피해자
"내 눈에서 눈물이 나와부려.
(미쓰비시) 중공업에서 일한 사람들은
다 알고 있지. 회사에 다닌 사람 다 알고 있고
그 사람들, 일본 사람들은 다 알고"
연극은 광주에 이어 내년 2월
도쿄에서도 선보여질 계획입니다.
전범기업들이 진실된 사죄와
배상금 지급 절차를 미루고 있지만,
피해자들의 삶과 아픔은
문화 예술을 통해 기억되고 있습니다.
MBC뉴스 임지은입니다.
Copyright © Mokpo Munhwa Broadcasting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