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 커 ▶
대다수의 기초 지자체와 광역 지자체들이
예산안 공개에 여전히 소극적입니다.
시민들이 알면 안되는 것들이 많을까요?
문형철 기자가 보도합니다.
◀ 리포트 ▶
한해 살림살이 계획을 파악할 수 있는 예산안은
지자체가 수립해 의회에 제출합니다.
하지만, 시민들이 확인할 수 있는 건
보도자료를 통해 공개된 전체 예산안 규모와
주요 사업 정도입니다.
최근 여수시가 시민단체의 요구를 수용해
올해 처음으로 예산안 자료 전체를
홈페이지에 게시했지만,
순천시와 광양시 등 다른 지자체는
여전히 비공개하고 있습니다.
◀ SYNC ▶ *순천시 관계자*
"내부 검토 문서라서 확정된 게 아니라서 저희가 공개하지 않습니다."
전라남도와 광주시도 같은 이유로
예산안 공개에 소극적입니다.
◀ SYNC ▶ *전라남도 관계자*
"아직은 의회 (심의) 절차가 있기 때문에 사전에는 안 올리고 있습니다. 내부적으로 한번 협의를 해봐야 할 것 같습니다."
이 때문에 일반 시민들은
지자체가 어떻게 예산을 편성했는지,
의회 심의 과정에서 어떤 예산이
얼마나 조정됐는지 알기 어렵습니다.
·
정보공개 청구를 하면
신청인에게 예산안 자료 제공해야 한다는
행정심판위원회의 판단도 있어
오히려 비공개를 고집해야 하는 이유를
찾기 어렵습니다.
울산광역시와 충청남도 등이
지자체나 의회 홈페이지에
예산안을 게시하고 있는 것도
이 같은 점을 고려한 겁니다.
◀ INT ▶ *송윤정 / 나라살림연구소 책임연구원*
"납세자인 시민에게 재정 정보를 투명하게 공개해야 할 의무가 있습니다. 굳이 법이나 제도가 개선되지 않더라도 적극적으로 먼저 정보를 공개하는..."
시민 참여와 지방 분권이
갈수록 강조되고 있는 만큼
적극 행정의 필요성도
더욱 높아지고 있습니다.
MBC 뉴스 문형철입니다.
Copyright © Mokpo Munhwa Broadcasting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