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C▶
지난해 발생한 이태원 참사에서
다시한번 9년 전 세월호 참사를 떠올릴 수
있었는데요.
당시 정부의 대응을 보며 많은 국민들은 세월호를
떠올렸고, 세월호 유가족들은 또 한번 좌절해야
했습니다.
신광하 기자입니다.
◀END▶
◀VCR▶
서울광장 한편에 마련된
10.29 이태원 참사 희생자 합동분향소.
영정들 앞에 꽃과 편지 등
미안한 마음들이 놓였습니다.
언제 철거당할지 모를 분향소를
유가족들이 돌아가며 지키고 있습니다.
◀INT▶ 박미화
*10.29 이태원 참사 희생자 조경철씨 가족*
"우리 아이들이 돌아오지 못 하고
다시 살아날 수 있는 것도 아니고...
남아있는 시대, 남아있는 아이들 위해서
(싸우는 거에요)"
참사 직후 영정과 위패 없는
합동분향소를 차렸던 정부.
참사 희생자 대신
'사고 사망자'로 용어를 사용하라는
지침을 내리는 등 책임을 지우고
추모 열기 확산을 막는데 분주했습니다.
피해자의 알 권리를 보장하라는
사회적참사 특별조사위원회의 권고사항,
세월호의 교훈은 지켜지지 않았습니다.
◀INT▶ 용혜인 국회의원
"유가족들을 냉대하고 모욕하고 어떻게든
시민들로부터 고립시키고 또 정치화하려고 하는
정부의 대응이라는 것이 하나도 달라지지
않았다라는게 서글프고 처참한..."
더딘 진상규명에도 9년을 싸워온
세월호 유가족들은 서울 한복판에서
일어난 또다른 참사에 할 말을 잃었습니다.
◀INT▶ 김순길
*세월호 참사 희생자 진윤희 양 가족*
"저희가 9년 이상 싸웠는데 좀 더 열심히
싸웠으면 이태원 참사가 일어나지 않았지
않았을까 이런 죄책감도 들고 굉장히
힘들었습니다."
먼저 아픔을 겪고도 안전한 사회를
만들지 못했다는 책임감.
다른 사람의 일이라고만 생각했던 참사가
내 가족에게 닥치고나서야 깨달은 미안함.
비슷한 아픔으로 연대하는 이들은
국가의 재난안전체계가 왜 작동하지 않았는지를
다시 한 번 묻고 있습니다.
◀INT▶ 안영선
*이태원 참사 희생자 김동규 군 가족*
"세월호 유가족이 오셨을 때 사과를
하시더라고요. 유가족이 저희 유가족한테...
마음 아팠어요. 그래서 제가 그랬어요.
사과를 듣는 것도 저희가 마지막이고
저희는 절대 사과하지 않을 거라고.
앞으로 저희가 그런 참사가
없도록 할거라고..."
MBC뉴스 신광하입니다.
Copyright © Mokpo Munhwa Broadcasting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