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C▶
건강 식품으로 각광받던 매실 소비가 줄고
가격도 크게 하락하면서
재배 농가들의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습니다.
결국, 공급 물량을 줄여서라도
가격이 떨어지는 것을 막아보자며
매실 주산지에서는 올해 처음으로
'산지 폐기'라는 극약 처방을 꺼내 들었습니다.
보도에 문형철 기자입니다.
◀VCR▶
바닥에 깔린 매실 위로
굴삭기가 돌과 흙을 뒤덮습니다.
올해 갓 수확한 매실을
땅에 묻어 폐기하는 겁니다.
[C/G - 투명]10kg 한 상자에
한때 6만 원을 호가했던 매실 가격은
올해 3만 원 수준에 그치고 있는 상황.///
재배면적 증가와 소비 감소의 영향으로
매실 가격이 끝없이 떨어지자
결국 농민들은 시장 공급량을 줄이기 위해
산지 폐기라는 최후의 수단까지 동원했습니다.
◀INT▶
"옛날에 비해 30% 정도가 (농사를) 포기해
버렸어요. 생산을 해도 인건비가 안 맞으니까
안 따버려요. 병충해 때문에 또 해 먹지도
못하고. 너무 힘이 듭니다. 힘이 들어."
올해 처음으로 배정된 매실의 산지 폐기 물량은
광양 150톤을 포함해 전국적으로 모두 5백 톤.
농가에 지급되는 3억 5천만 원의 보상비는
농협 중앙회와 지역 농협이
각각 절반씩 부담하기로 했습니다.
하지만, 청매실 수확이 대부분 끝난 데다,
일부 지역은 산지 폐기를 하지 않기로 결정해
가격 반등을 기대하기는 어렵습니다.
◀SYN▶
"(보상비가) 너무 적은 금액이거든요. 농약
값이나 퇴비 값이라도 하라는 극약처방이죠."
매실 재배 농민들은 이 같은 산지 폐기가
근본적인 대안이 될 수 없다며,
매실 가격이 일정 수준 이하로 하락할 경우
차액을 보존해주는 '최저가격 보장제'를
요구하고 있습니다.
◀INT▶
"다른 대체작목을 할 게 없습니다. 열대과일을
한다고 해봤자 시설도 해야 되고 초기 비용도
많이 들기 때문에...그리고 농촌이
노령화돼가지고..."
이와 함께 농민들은
가공 상태로 들어오고 있는 수입 매실 역시
국산 매실의 가격 하락을 부채질하고 있다며
FTA 피해 품목에 매실을 포함시켜 줄 것도
정부에 건의하기로 했습니다.
MBC NEWS 문형철입니다. ◀END▶
Copyright © Mokpo Munhwa Broadcasting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