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C▶
민선 7기 광주시가 약속한
작업복 세탁소 건립은
잘 하면 전국 최초의 모범사례로
평가받을 수도 있었습니다.
하지만 1년이 다 되도록
사업 추진은 지지부진합니다.
반면 광주에서 힌트를 얻어
논의를 시작한 경상남도는
두 달 만에 해법을 찾았습니다.
광주와는 뭐가 달랐던 걸까요?
김인정 기자가 알아봤습니다.
◀VCR▶
광주시는 노동자 작업복 세탁소를
추진한 건 지난해 7월부터입니다.
(c.g) 9 달간 뭘 했는지 보니
세탁소가 있는 대기업 실태조사에 2달을 쓰고
공식 간담회를 1번 한 게 전부입니다.
그리곤 타당성 조사 용역을 하겠다며
4천만원의 추경 예산을 세웠습니다.
하지만 시의회 설득에 실패하면서
예산은 전액 삭감됐고,
사업 추진도 불투명해졌습니다.
◀INT▶
정 모 씨/ 하남산단 근로자 (음성변조)
"(작업복을) 가족들 세탁물하고 섞어 빨 수밖에 없는 현실이죠. 기대가 있었는데 공약이 안 이뤄지다 보니까 실망도 있고 그렇습니다."
그러나 2달 전, 광주시를 벤치마킹하기 시작한
경상남도는 착수와 동시에 성과를 냈습니다.
일단 대화 테이블을 곧장 마련했습니다.
김해시 등 산단이 있는 지자체,
한국노총과 민주노총 등 노동계,
경제인총연합회 등 재계까지 모아 대화하고
역할을 나눠 예산을 줄였습니다.
/ (c.g) 도와 시는 예산을 반반씩 부담해
수요와 실태를 조사하고,
장소와 장비 제공을 맡았습니다.
노동계는 세탁소 운영에 필요한
차량을 제공하고,
사용주들은 비정규직 작업복을
세탁해주지 않는 차별 실태를 고치고,
세탁소 이용을 독려하기로 했습니다./
또 자활기업에 운영을 맡겨
자활기금을 인건비로 활용하는 동시에
저소득층 고용을 증진하고,
사회적 기업으로 확장시키기로 했습니다.
◀INT▶
조태일 주무관/경남도청
"행정에서 일방적으로 수요조사하고 이것이 필요하냐, 그런 게 아니고 관련 당사자들을 사용주, 노동자, 지자체.. 푸는 방식도 단순히 복지제공을 떠나서 어떻게 사회적 가치를 만들 수 있을지.."
민선 7 기 공약으로 추진되기 시작한
노동자 작업복 세탁소.
광주가 용역 예산 추경으로
시의회와 밀고 당기며 시간을 보내는 사이,
경남은 사회주체들간 대화로 예산도 줄이고,
사회기여형 모델까지 만들었던 겁니다.
MBC뉴스 김인정입니다.
◀END▶
Copyright © Mokpo Munhwa Broadcasting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