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C▶
첫 발생 이후 보름이 지난 완도 전복 집단
폐사의 피해 규모가 날이 갈수록 커지고
있습니다.
원인규명이 아직 진행 중인 가운데
어민들의 답답함과 막막함도 깊어지고
있습니다.
전복 집단폐사 사태를 양현승 기자와
함께 이야기해보겠습니다.
◀END▶
◀ANC▶질문1
양 기자, 전복 폐사 피해가 4백억 원을
넘었다는 이야기를 들었는데요. 현재까지
피해는 얼마나 신고됐나요.
◀END▶
◀VCR▶
완도에서 전복 폐사가 발생한 건
지난 10일부터였습니다.
금일읍의 양식장에서부터 전복 집단 폐사가
시작된 뒤에 생일면, 그리고 지금은 신지와
약산에서도 피해가 접수되고 있습니다.
현재까지 완도군이 접수한 피해신고는
전복만 5천6백만 마리에 이릅니다.
우럭과 줄돔 양식장에서도 폐사 신고가
접수되기도 했습니다.
전 복을 중심으로 피해액은 453억 원 가량으로
추산되고 있습니다.
아직 피해를 입고도 완도군에 신고하지
않은 양식어가도 있는 것으로 전해지고 있어,
당분간 피해규모는 더 커질 것으로 보입니다.
◀ANC▶질문2
물론 450억이 넘는 피해액이 적다고 볼 수는
없지만, 비싼 전복이 5천만 마리가 넘게
폐사했는데, 피해액이 좀 안 맞다는 생각이
듭니다. 어민들도 그렇게 항변하고요.
왜 그런가요?
◀END▶
◀VCR▶
네. 그렇습니다.
현재 피해가 발생한 양식장에는 당장
올 추석부터 판매할 계획이었던 다 큰 전복도
많습니다.
앞으로 1년에서 1년반 더 키워야하는
전복도 있는 것으로 확인됐고요.
그런데, 모두 1마리에 770원으로 계산됩니다.
피해조사에 의한 지원단가가 그렇게 돼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어민들은 훨씬 더 높은 피해액을
이야기하지만, 완도군에서 밝히는 피해액은
현실단가에는 맞지 않은겁니다.
◀END▶
◀ANC▶질문3
가장 큰 문제는 폐사의 원인이 뭔지 모른다는 건데, 조사 결과는 언제쯤 나올 것으로
예상됩니까.
◀END▶
◀VCR▶
며칠전 방문한 김영석 해수부 장관은 폐사의
원인이 폭염속에 수온이 올랐기 때문에
영향을 받았을 거라고 말했습니다.
뿐만 아니라 적조생물, 그리고 해류 유통 등의
원인이 복합적으로 섞였을 거라고 조심스럽게
추정했습니다.
아직까지 정확한 결과는 나오지 않고
있습니다.
합동조사반의 검사 결과는 이달 말쯤
되어서야 발표될 것으로, 완도군은
내다보고 있습니다.
◀ANC▶질문4
원인이 안 나오니까 어민들이 더 답답할텐데..
추후에 어민들은 어떻게 보상받을 수 있습니까?
일단 보험약관이 문제가 될텐데요.
◀END▶
◀VCR▶
보험이 문제입니다.
완도군에 따르면 전복 양식 어가의 70%
이상이 재해보험에 가입한 상태입니다.
문제는 태풍과 적조피해는 보상받지만,
고수온에 의한 피해까지 보상하는 특약에는
가입하지 못했다는 겁니다.
갱신형도 아니고 1년 뒤에 소멸되는 보험료가
너무나 부담돼 특약은 엄두도 내지 못한다고
어민들은 말하고 있습니다.
적조가 전복 폐사의 원인으로 작용했는지
여부가 일단 보험으로 보상받느냐를
결정하겠죠
어민들은 원인조사 결과만 초조하게
기다리고 있는 상태입니다.
◀ANC▶질문5
보험가입에 가입되지 않았다면 어떻게
되는거죠. 어민들을 지원할 대책이 있나요?
◀END▶
◀VCR▶
김영석 해수부 장관이 얼마전 와서
보험에 가입하지 않았어도 재해대책법으로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습니다만,
재해대책법으로 주는 재난지원금은
5천만 원이 최대치입니다.
특히 피해액이 큰 전복 양식업에 대한
지원금으로 보기엔 현실성이 떨어지는 게
사실입니다.
◀ANC▶질문6
마지막으로 전복 폐사 사태와 관련해
어떤 일들이 현재 이뤄지고 있는지
설명해주시죠
◀END▶
◀VCR▶
현재 완도해역의 수온은 24도에서 26도로
지난해보다도 1도 이상 높다고 합니다.
일단 23도 이하로 떨어질때까지 먹이를
주지 말라고 어민들에게 당부해둔 상태입니다.
피해와 관련해서는 신고가 접수된
양식장에서 실제 피해조사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정부가 좀 움직여야 할 것으로 보이는데요.
해수부 장관은 재해대책이 국가의
지원에서 사적보험으로 전환하고 있다고
어민들에게 설명했습니다.
국가가 재해대책을 민간에 맡긴다면,
물론 지금도 보험금을 지원해주고 있긴
하지만 현실성있는 내용으로 다시
정비돼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보험이라는 게 만일의 사태에
대비하는 것인데, 가입자에게 지나치게
불리하다면 당연히 손봐야 겠죠.
Copyright © Mokpo Munhwa Broadcasting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