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포MBC

검색

일반

빅데이터로 원인 분석..포트홀 잡는다

이재원 기자 입력 2025-06-26 16:52:39 수정 2025-06-26 19:14:11 조회수 75

◀ 앵 커 ▶
비가 자주 내리는 장마철에 
빈번하게 발생하는 도로 위의 지뢰밭..일명 
포트홀이죠.

여러 가지 원인으로 발생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는데, 지역 대학의 연구진이 
빅데이터를 분석해 봤더니 
역시 교통량과 차량이 원인이었습니다.

연구진은 포트홀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방법으로
스마트 폴을 제시하고 있는데요.

이재원 기자가 자세히 보도합니다. 
◀ 리포트 ▶

지난 해 상반기 광주 송정역 부근에서 발생한
포트홀 분석 자료입니다.

도로를 따라 빼곡히 늘어선 점들이 
모두 포트홀로, 
5톤 이상의 대형 차량과 버스의 통행이 
빈번한 곳입니다.

비슷한 현상은 지난 2022년과 23년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에서도 나타납니다.

하남산단 인근 도로와 
영광으로 빠져 나가는 국도 모두, 
포트홀이 빈번하게 발생했습니다.

그리고 3년 동안 자료를 합치면 
포트홀 발생 지역이 
겹치는 것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호남대학교 서혁 교수가 최근 3년 동안 
광산구 지역에서 발생한 
5천 5백여개의 포트홀을 분석한 결과로

대형 차량의 이동이 잦은 곳에서 포트홀이 
많이 발생하는 인과 관계를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처음으로 제시했습니다.

◀ INT ▶ 서혁 교수/호남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관리하고 있는 데이터를 공간 정보 데이터 상에 표시를 해보니..이제 어느 정도는 교차로 구간이라든지, 산업단지..중차량이 많이 다니는 곳에서 포트홀 발생 빈도수가 높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포트홀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 방안으로는 
도로 곳곳에 설치되고 있는 
스마트 폴이 제시되고 있습니다.

지금까지는 포트홀이 발생하면 
보수만 하는 땜질식 처방에 그치고 있지만, 
스마트 폴에 카메라를 설치하면 
교통량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이 가능해집니다.

이렇게 되면 발생 요인과 위험 인자에 대한
종합적인 분석을 통해 
교통량 분산을 유도할 수 있고, 
포트홀 위험지도를 만들어 
이용자에게 보급할 수도 있습니다.

◀ INT ▶ 서혁 교수/호남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스마트 폴에 반영했을 때 단순히 사진만 찍고 끝나는 것이 아닌 위험 구간에 대한 특정 위함 구간에 대한 추정도 할 수 있고, 그 다음에 예방할 수 있는데도 더 큰 도움이 될 수 있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잦은 비가 내리는 장마철이 시작되면서 
도로 위의 안전을 더욱 위협하는 포트홀.

빅데이터 분석과 스마트 폴을 이용한 
예측 기술의 발달로 
포트홀을 통제할 수 있는 날도 가까워지고 
있습니다.

MBC 뉴스 이재원입니다

 

Copyright © Mokpo Munhwa Broadcasting Corp. All rights reserved.

이재원
이재원 leejw@kjmbc.co.kr

광주MBC 취재기자
보도본부 뉴스팀 경제, 혁신도시 공공기관 담당

전 뉴스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