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포MBC

검색

광주3원)사후관리 허술(리포트)

입력 2005-04-14 09:12:31 수정 2005-04-14 09:12:31 조회수 1

◀ANC▶
정부는 대학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해마다 천문학적인 예산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지원만 해놓고 사후관리가 허술해
학생들만 애꿎게 피해를 보고 있습니다.

김철원기자가 취재했습니다.
◀END▶
◀VCR▶
광주의 한 2년제 대학
컴퓨터정보과에 다니는 김 모씨.

학과가 올해 정부로부터 15억 이상을 지원받는 특성화 사업에 선정되면서 기대가 컸습니다.

하지만 예산집행이 늦다는 이유로
대학측이 준비를 제대로 하지 않아
개강한 지 한 달이 지나서야 수업을
받게 됐습니다.

◀SYN▶김00(학생)
"학교와서 시간만 보내는 식이다"

광주의 한 4년제 대학 정보통신학과의
학생들도 지난해 비슷한 경험을 치렀습니다.

학과가 누리사업 즉, 지방대 혁신역량 강화사업에 선정돼 각종 지원을 예상했지만
약속받은 혜택을 제대로 누리지 못한 것입니다.

◀SYN▶학교관계자
"(학생들 불만은) 기자재를 좀 빨리 사달라는 것이다. 자기들도 혜택받게..."

하지만 이렇게 잡음이 일어도 학생 취업률 등
대학이 정부에 제시한 사업목표만 달성하면
과정이야 어떻든 간에 사업을 계속하는 데는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SYN▶교육부관계자
"(평가는) 성과여부를 묻는 것이다. 수업을 했냐 안했냐는 고려대상이 아니다"

학기가 시작된 이후에야 이뤄지는
정부의 예산집행 관행도
이같은 파행교육을 더욱 부추기고 있습니다.

◀SYN▶학교 관계자
만약 예산이 2월말에만 들어왔어도 (이런 일 없었을 것이다)

대학의 구조개혁과 특성화를 유도하기 위해
해마다 3천억원 이상이 투입되는 정부의
대학재정 지원사업.

취업률 뿐만이 아닌 과정에 대한
철저한 평가와 함께 교육당국의
합리적이고 성의있는 지원대책이 아쉽습니다.
MBC뉴스 김철원입니다.

Copyright © Mokpo Munhwa Broadcasting Corp. All rights reserved.